현대차·SK-삼성·GM ‘배터리 동맹’… IRA 넘는다

현대차·SK-삼성·GM ‘배터리 동맹’… IRA 넘는다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3-04-26 01:24
업데이트 2023-04-26 06: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술 밀착’ 더 공고해진 한미
현대차·SK온 6조 5000억 투자
GM, 네 번째 파트너 삼성SDI

이미지 확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4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3 서울모빌리티쇼’를 방문해 테슬라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2023.4.4 연합뉴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4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3 서울모빌리티쇼’를 방문해 테슬라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2023.4.4 연합뉴스
현대자동차와 SK, 삼성이 미국에 새 배터리 공장을 설립한다는 계획을 잇달아 밝혔다. 급성장이 예고된 북미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한 포석이다. 동시에 방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의 손에 커다란 ‘투자 보따리’를 쥐여 준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현대차그룹은 25일 이사회를 통해 SK온과의 배터리 합작공장 설립 계획을 승인했다. 국내 대기업이 공동으로 미국에 배터리 공장을 짓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공장은 미국 조지아주 바토카운티에 지어지며 투자금은 50억 달러(약 6조 5000억원)다. 지분은 양사가 50%씩 나눠 갖는다.

연간 생산량은 35기가와트시(GWh)로 전기차 30만대분에 해당한다. 2025년 하반기부터 공장을 돌리는 것이 목표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전기차 전용 공장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와 그리 멀지 않은 곳(460㎞ 부근)에 지어진다. 이는 SK온과의 합작공장에서 만들어지는 배터리가 현대차그룹이 미국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에 그대로 탑재될 예정이라서다.

같은 날 삼성SDI는 미국 완성차 회사 제너럴모터스(GM)와 미국 배터리 합작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GM은 앞서 LG에너지솔루션과 ‘얼티엄셀즈’라는 회사를 세워 3공장까지 설립을 확정했으나, 네 번째 공장의 파트너로는 삼성SDI를 택했다. 2026년 양산 목표로 투자금은 30억 달러로 생산능력은 연간 30GWh 이상이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 이후 북미 전기차 시장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대규모 투자도 이 시장에서 우위를 지키기 위해 현지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차원이다.

재계에서는 24일(현지시간)부터 미국을 방문하고 있는 윤 대통령의 일정과도 관련이 있다는 시각이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해 대통령이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기간에 나온 대기업들의 투자 계획은 ‘기술 동맹’으로서의 양국 관계가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는 메시지가 담긴 것”이라고 평가했다.
오경진 기자
2023-04-26 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