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온 중국인은 화장품, 일본인은 식품에 돈 쓴다

한국 온 중국인은 화장품, 일본인은 식품에 돈 쓴다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3-04-27 00:32
업데이트 2023-04-27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국인 관광객 소비 실태 조사

중국인 백화점·일본인 편의점서
中관광객 1인 1546弗 지출 최다

이미지 확대
최근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는 가운데 국적별 관광객 중 ‘큰손’은 중국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관광을 마치고 출국하는 외국인 관광객 400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K 상품’군을 조사한 결과 중국인 관광객들의 쇼핑 지출 규모가 1546달러로 가장 많았다. 각국 관광객들의 평균 쇼핑 지출 규모는 968달러로, 권역별로는 아시아(1038달러), 미주(913달러), 유럽(870달러) 순이었다.

가장 즐겨 찾는 쇼핑 장소의 경우 중국인 관광객은 백화점이 87.1%로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나 일본인 관광객은 편의점이 86.5%로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상품 선택 기준도 중국인들은 1순위가 브랜드인 반면 일본인은 한국적 상품(33.8%)이 선택 기준이 됐다. 김성열 대한상의 데이터정보팀장은 “중국인들은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백화점과 면세점에서 브랜드를 보고 제품을 사는 과시적 소비 특징을 보이고 있고 실속을 따지는 일본 관광객은 한국적 상품과 가격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응답자 수 상위 3개국인 중국, 미국, 일본의 관광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쇼핑 품목도 저마다 달랐다. 중국인 관광객의 75.8%는 화장품·향수 지출이 가장 컸고 일본인 관광객들은 식료품 지출이 41.9%로 가장 많았다. 미국인들은 의류·피혁류(43.4%)에 가장 많은 돈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과 쇼핑 환경에 대해서는 언어 소통이 50.0%로 가장 큰 ‘장벽’으로 지적됐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83.9%)이 미국인 관광객(50.9%)보다 더 많은 불편을 호소했다.

정서린 기자
2023-04-27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