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열풍 덕에… CJ제일제당 1분기 깜짝 실적

K푸드 열풍 덕에… CJ제일제당 1분기 깜짝 실적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24-05-14 23:26
업데이트 2024-05-14 2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업이익 49% 올라 3759억

만두·치킨·즉석밥 등 인기 힘입어
해외 매출, 식품사업서 절반 육박
탈쿠팡 이후 알리 등 판로 다변화

이미지 확대
CJ제일제당이 지난해 실적 부진을 딪고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0%에 가까운 증가세를 보이며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비비고 만두, 냉동 치킨 등 식품사업이 해외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K푸드’ 열풍의 수혜를 봤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히는 바이오 사업의 수익성이 개선됐고 내수 시장에서도 온라인 플랫폼 확대로 판매량이 증가하며 힘을 보탰다.

●탄탄한 K푸드 포트폴리오

CJ제일제당은 자회사 CJ대한통운을 포함한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8.7% 증가한 375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4일 공시했다. 매출은 7조 2160억원으로 같은 기간 2.0% 늘었고 순이익은 1546억원으로 213.5% 급증했다. CJ대한통운을 제외한 실적으로는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한 4조 4442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77.5% 증가한 267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본업’인 식품사업이 실적을 견인했다. 이 중에서도 해외 매출이 전체 식품사업 매출 2조 8315억원의 절반에 육박한 1조 3752억원을 기록하며 ‘수출 기업’으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는 분석이다. 대표적으로 올해 초 BI(브랜드 이미지)를 새단장한 ‘비비고 만두’가 북미 시장점유율 1위 왕좌를 수성하며 실적을 뒷받침했다. 여기에 냉동 치킨, 냉동밥 매출이 각각 25%, 23% 증가하는 등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며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성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쿠팡과의 결별이 전화위복됐나

국내에서는 온라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4% 늘어난 것이 주효했다. 앞서 2022년 11월 CJ제일제당이 쿠팡과 납품가를 둘러싼 갈등을 빚으며 전격 결별 수순을 밟자 일각에서는 햇반 등 주요 품목 판매량에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네이버, SSG닷컴, G마켓, 알리익스프레스, 배달의민족 등 다양한 이커머스 플랫폼과 손잡고 판로를 확대해 외려 ‘전화위복’이 됐다는 평이 나온다.

이 밖에 고부가가치 품목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재편한 것이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면서 바이오 사업 부문도 매출이 1조 216억원으로 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이 978억원으로 55% 늘어나는 등 선방한 것도 힘을 보탰다. CJ제일제당은 올해 올림픽이 열리는 프랑스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K푸드 영토 확장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김희리 기자
2024-05-15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