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증권 “에버랜드 사업개편 지배구조 변환 신호탄”

하이증권 “에버랜드 사업개편 지배구조 변환 신호탄”

입력 2013-11-05 00:00
업데이트 2013-11-05 08: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이투자증권은 5일 최근 삼성에버랜드가 사업구조를 개편하고 있는 것을 삼성그룹 지배구조 변환의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그룹의 최상위 회사이면서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 역할을 할 삼성에버랜드가 사업구조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연구원은 삼성그룹의 지배구조가 변환하려면 일단 삼성에버랜드의 기업가치가 상승해야 하는데 최근 삼성에버랜드의 사업구조 개편은 이런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날 삼성에버랜드가 급식·식자재 부문을 ‘삼성웰스토리’(가칭)로 물적 분할하고 건물관리 사업을 4천800억원에 에스원으로 이관하는 방안을 이사회에서 결의했다.

이에 앞서 삼성에버랜드는 제일모직 패션부문을 영업양수해 향후 ‘캐시카우’(현금창출원)와 성장성을 확보한 바 있다.

일련의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삼성에버랜드는 내년 제일모직으로부터 인수한 패션업, 건물관리를 제외한 E&A(Engineering& Asset), 레저 부문 등 3개 사업으로 재구성될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이로써 삼성에버랜드는 향후 지배구조 변환 과정에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이를 지배구조 변환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해석했다.

또한 그는 “삼성물산과 삼성전자가 대부분의 계열사를 나눠 소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어 이들 기업도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변환의 시발점이 될 수 있고, 앞으로 제일모직과 삼성석유화학의 합병 이슈 등도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