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부동산PF 익스포저 49조… 부실 우려에도 메리츠·미래에셋 등 충당금 삭감

증권사 부동산PF 익스포저 49조… 부실 우려에도 메리츠·미래에셋 등 충당금 삭감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3-04-03 00:07
업데이트 2023-04-03 0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년 만에 익스포저 규모 2배 급증
“위험 과소평가… 충당금 더 필요”
“은행·2금융권처럼 당국 규제를”

이미지 확대
고수익을 노리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 앞다퉈 뛰어든 증권사들이 관련 익스포저(대출·보증 부실)에 대비해 미리 쌓아 둬야 하는 대손충당금과 대손준비금(이하 충당금)을 삭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PF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어 증권사들이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증권사는 당국의 규제 강화 대상에서 빠져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메리츠증권은 충당금을 2021년 2134억원에서 2022년 1362억원으로 772억원 삭감했다. NH투자증권(492억원), KB증권(323억원), 미래에셋증권(330억원) 등도 지난해 충당금을 감액했다. 유안타증권(57억원), 대신증권(32억원), 한양증권(19억원), 신영증권(14억원) 등도 마찬가지다.

이는 대부분 증권사들이 부동산시장 침체 우려 탓에 지난해 부동산 금융 관련 충당금을 높여 잡은 것과 대조되는 행보다. 실제로 국내 53개 증권사의 지난해 충당금은 총 1조 9275억원으로 전년(1조 8322억원)보다 953억원 늘었다. 증권사들은 현행 규정에 따라 보유 자산의 향후 손실 가능성에 대비해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등 5단계로 나눠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충당금은 ‘손실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되는 금액으로 부실 정도가 개선됐거나 아예 부실자산으로 확정되면 이 금액이 줄어들 수 있다. 그럼에도 업계가 충당금을 삭감한 증권사들에 대해 우려의 시선을 거두지 못하는 것은 부실 위험을 자의적으로 과소평가해 충당금을 충분히 쌓지 않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들어 부동산 PF 부실 우려가 증폭되는 가운데 증권사 부동산 PF 익스포저 규모는 2020년 6월 말 29조 2000억원에서 2022년 6월 말 49조 4000억원으로 2년 만에 2배가량 급증했다. 이 기간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PF 익스포저 비율도 45.3%에서 62.3%로 뛰었다. 메리츠증권의 부동산 PF 등 금융 익스포저는 자기자본 대비 125%로 매우 높은데, 지난해 기준 채무보증 순액 합계만 5조 7000억원으로 자기자본(5조 6919억원)에 육박했다.

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PF 우려가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충당금을 줄인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조치”라고 말했다. 은행 및 다른 2금융권과 마찬가지로 증권사도 충당금 규제 강화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PF 채무보증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인 증권사에 대해서는 별도의 위험 가중치를 설정하고 신용 공여 한도를 조정하거나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토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은 기자
2023-04-03 1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