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매수한 4.7조 중 절반 ‘빚투’… 코스닥 과열 주의보

순매수한 4.7조 중 절반 ‘빚투’… 코스닥 과열 주의보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3-04-18 00:39
업데이트 2023-04-18 00: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용융자 10조… 올해 2.4조 달해
“주가 급락·이차전지 쏠림 경계를”

이미지 확대
코스닥이 11개월 만에 900선을 회복하며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투자 과열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른바 ‘빚투’(빚내서 투자) 규모인 코스닥 신용융자 잔고가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으로 10조원을 넘어서며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은 전 거래일보다 5.66포인트(0.63%) 오른 909.50으로 장을 마쳤다. 지난 14일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5월 4일(900.06) 이후 11개월 만에 900선을 넘어선 후 이날도 상승세를 이어 갔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33.8% 급등한 수치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0.17% 오른 2575.91로 마쳤다. 지난 7일부터 7거래일째 오름세다.

코스닥이 단기 급등한 만큼 급격히 불어난 신용융자 잔고에 대한 경고음도 커지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코스닥 신용융자 잔고는 지난 11일 10조원을 넘어선 이후 13일 기준 10조 1422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날 기준 코스닥 시가총액 대비 5배 이상 큰 유가증권시장의 신용융자 잔고(9조 4510억원)를 앞지른 상황이다.

올해 개인투자자들의 코스닥 누적 순매수 규모는 약 4조 7000억원이다. 같은 기간 신용융자 증가액이 2조 4000억원에 달한다는 점을 볼 때 순매수 대금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금액이 빚투라는 얘기다.

이는 2020년과 2021년 코스닥 시장의 개인투자자 순매수 규모가 각각 16조 3000억원, 10조 9000억원이었으나, 신용융자 증가액은 4조 4000억원(순매수대금의 27%), 1조 4000억원(12.8%)에 불과했던 것과 대비된다.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무엇보다 코스닥 신용융자 잔고가 단기간 빠르게 늘어났다는 점이 문제”라고 말했다.

문제는 주식이 갑자기 하락할 때다. 빚투가 아니라면 주가가 내려가더라도 다시 오를 때까지 버티는 선택을 할 수 있지만 신용융자는 그럴 수 없다. 투자자가 매수한 주식 가격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져 최소 담보비율을 유지하지 못하면 강제로 처분당한다. 코스닥은 코스피와 비교해 주가 변동성이 높고 시총 대비 신용융자 잔고 비율도 높아 주가 하락 시 반대매매 위험성이 더 크다.

특히 최근 코스닥 투자 열기가 이차전지 관련주 일부 종목에 쏠려 있어 우려를 더한다. 이차전지 대표주로 꼽히는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은 올해 들어서만 263%, 113% 폭등했다. 이들 주가가 조정을 받을 경우 전체 코스닥에 미치는 영향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현재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코스닥 상장사의 실적 개선이 어렵다는 분석이다. 현재 미 금융시장에선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다음달 또는 6월을 마지막으로 금리 인상을 끝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이투자증권은 “1974년 이후 미국 증시가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 중단 이후 하락한 적이 세 차례 있었다”면서 “공통점은 경기가 침체 국면에 진입했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송수연 기자
2023-04-18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