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현대차 협력업체/육철수 논설위원

[씨줄날줄] 현대차 협력업체/육철수 논설위원

입력 2010-06-10 00:00
업데이트 2010-06-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느 조직이든 잘나갈 때는 좋은 점만 부각된다. 그러나 몰락하면 물밑 찌꺼기까지 떠오르기 마련이다. 일본 도요타자동차도 그랬다. 시바타 마사하루가 쓴 ‘도요타 최강경영’은 한때 우리 기업인들의 필독 경영서였다. 하지만 도요타 리콜사태 이후 사정은 싹 달라졌다. 도요타의 성공을 이끈 동력 중 하나는 협력업체와의 관계라고 한다. 도요타 임원들은 연말마다 선물꾸러미를 들고 협력업체들을 찾아가 감사의 뜻을 전했다. 경영을 함께 의논하고 제조원가에서 생산·품질에 이르기까지 서로 머리를 맞댔다. 이런 분위기가 도요타를 세계 최고의 완성차 회사로 끌어올리는 데 일조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근로자들의 희생이 적지 않았던 모양이다. 마이뉴스재팬이 펴낸 ‘도요타의 어둠’을 보면 협력업체 근로자들의 혹사가 적나라하다. 특히 베트남 등 외국 연수생들에겐 근무 중 화장실에 가면 1분에 15엔을 월급에서 뗐다고 한다. 휴대전화 소지를 금지하면서 회사전화를 쓰면 1회당 1만엔, 청소를 안 하면 1회당 2000엔의 벌금을 매겼다. 그래서 도요타 협력업체에서는 ‘자동차 절망공장’이란 말이 나돌 정도였단다. 사실이면 도요타 성공의 결정적 요인이던 원가절감이 반드시 협력업체와 상의 하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얘기일 것이다.

현대·기아차가 2700여개 중소기업 협력업체들과 공정거래협약을 맺었다고 한다. 고질적인 납품단가 후려치기를 안 하고, 납품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며, 기술협력에 앞장서겠다는 것이다. 현대·기아차는 협력업체와의 상생을 위해 이미 오래 전부터 250여개 업체와 세계 7개국에 동반진출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번 협약이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8개 계열사들이 참여해 2차 협력업체까지 대상을 확대했다는 점이 돋보인다. 억울해도 말 한마디 못한 협력업체들로선 좋은 기회를 맞은 셈이다. 부품과 완성차의 경쟁력을 높여 상생의 선순환을 이루길 기대한다.

여러 산업분야에서 대기업과 협력업체가 상생경영을 확대하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포스코는 2004년부터 317개 협력업체와 ‘성과공유제’를 만들어 1743억원의 절감 효과를 봤다. SK도 2008년 상생경영위원회를 만들어 협력업체 5700곳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대기업이 협력업체를 괴롭히는 악습은 여전히 대세다. 도요타 사태는 세계 제일을 꿈꾸는 대기업이라면 두고두고 배울 거리다.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2010-06-10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