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5·16/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5·16/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1-05-16 00:00
업데이트 2011-05-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거사일이 늦어지니 정보가 누설돼 걱정입니다. 언제 혁명을 합니까?” 이석제 중령이 박정희 소장에게 물었다. 그러자 박정희 소장은 씩 웃으면서 이석제 중령의 손바닥을 자기 앞으로 끌고와 손가락으로 5·16이라는 숫자를 썼다. 박 소장이 5·16 쿠데타의 주도 세력인 육사 8기 중심의 영관급 장교들과 만난 자리였다. 당초 거사일이 5월 12일로 잡혔으나 자꾸 늦어지자 그를 따르는 군 후배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던 것이다.

1961년 봄 군에는 “박정희가 혁명을 한대.”라는 소문이 쫙 돌았다. 한해 전 4·19 혁명으로 집권한 장면 정부의 무능함과 부패한 군에 염증을 느낀 군 내부에서 ‘세상을 뒤집자.’는 의견이 모아지기 시작했던 것이다. 박 소장이 깃발을 내걸고 그의 조카사위이자 후배인 김종필(JP) 중령이 핵심 브레인 역할을 맡았다. 혁명공약을 쓴 이가 바로 JP다. 박 소장의 나이가 44세, 김 중령은 35세였다.

이집트 나세르, 터키의 케말 파샤 등의 군사혁명에 분기탱천했던 그들이 의기투합한 5·16은 아직도 “쿠데타냐, 혁명이냐.”는 성격 논란이 분분하다. ‘빛과 어둠’을 동시에 갖는 5·16의 이중성 때문이 아닐까 싶다. 5·16은 나서지 말아야 할 군인들이 총을 앞세워 권력을 찬탈했다는 점에서 분명한 쿠데타다.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이 그들의 뒤를 따라 군사독재 시대를 연 것도 5·16의 어두운 그림자다.

하지만 5·16 세력이 추진한 산업화를 통해 대한민국이 가난을 떨치고 초고속 압축성장한 공(功) 또한 외면하기 어렵다. 절차는 쿠데타지만 결과적으로 혁명이라고 말하는 이가 나오는 것도 그 때문이지 않나 싶다. 최근 JP는 5·16 50년을 맞아 “레볼루션(혁명)은 민심을 기초로 아래에서 일어나 권력을 바꾸는 거야. 5·16은 레볼루션”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승화 전 육군참모총장은 “5·16은 국민·군인들의 지지를 업고 당당하게 혁명이라고 선언한 쿠데타고, 12·12는 합법을 위장한 반란이다.”고 말한 바 있다.

어찌됐든 5·16은 한국 현대사의 흐름을 바꾼 일대 사건임에는 틀림없다. 특히 한국 정치사에 본격적인 ‘3김(金)시대’가 열리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5·16 이후 군사독재가 장기화되면서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이 큰 정치인으로 성장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최근 여론조사에서 전·현직 대통령 가운데 호감도는 물론이고 재출마 시 다시 뽑겠다는 순위 1위에 올랐다고 한다. 이념보다는 경제에 주목하는 민심의 메시지가 아닐까.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1-05-16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