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아일랜드/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아일랜드/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1-05-19 00:00
수정 2011-05-19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한 마리의 종달새를 가둘 수는 있다. 하지만 그 종달새의 노래까지 가둘 수는 없다.” 아일랜드공화군(IRA)의 저항군인 보비 샌드가 옥중에서 쓴 한줄의 시(詩)는 영국에 대한 아일랜드인의 저항정신을 고취시켰다. 그는 1981년 영국에 의해 감옥에 갇히자 투쟁을 벌였다. 죄수복을 입지 않고 담요만 두른 채 생활하는 ‘담요투쟁’, 씻지 않고 배설물로 벽에 그림 그리는 ‘불결투쟁’으로 영국에 맞섰다.

단식투쟁도 벌였다. 신부님이 단식은 신의 뜻을 거스르는 자살이라며 말렸건만 그는 “ 타살이다.”며 항변했다고 한다. 결국 그를 포함해 9명이 단식으로 사망했다. 그들의 죽음을 방치한 영국의 비인간적인 처사에 북아일랜드와 전 유럽이 분개했지만 영국 대처 정부는 끄떡도 하지 않았다. 그의 삶은 ‘헝거’(Hunger)라는 영화로 만들어졌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마이클 콜린스’ 등과 같은 영화도 아일랜드의 독립을 그렸다. 어디 영화뿐인가. 앞서 19세기 아일랜드의 문예부흥 운동을 이끌며 조국의 자유를 위해 투쟁했던 시인 W B 예이츠도 ‘이니스프리의 작은 섬’이라는 시에서 “나 이제 일어나 가리. 이니스프리로 가리라.그곳에 작은 오두막집 짓고 ~홀로 살아가리라.”라며 아일랜드의 독립을 노래했다.

아일랜드는 영국의 식민지로 12세기부터 700년간 영국의 지배를 받을 때는 하나였다. 하지만 1921년 독립하는 과정에서 북아일랜드가 분리됐다. 영국의 지배를 받는 북아일랜드에서 영국으로부터의 독립과 아일랜드와 통합하려는 저항운동이 여전히 진행형인 이유다. 감자페스트로 대기근이 일어난 1840년대 중반은 영국의 핍박이 얼마나 심했는지 통계가 말해 준다. 100만명이 굶어 죽고 150만명 이상이 조국을 등졌지만 영국은 수수방관했다. 대표적인 소비자운동의 하나인 보이콧(Boycott)도 19세기 말 아일랜드에서 영국 지주인 찰스 C 보이콧에게 저항하는 차원에서 일어난 농민 운동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최근 엘리자베스 영국 여왕이 아일랜드를 방문했다. 영국으로부터 분리된 지 90년 만에 처음이자, 1911년 조지 5세가 방문한 지 100년 만이다. 우리나라와 아일랜드는 닮은꼴이다. 외세의 식민통치를 겪은 한(恨) 많은 민족이다. 핍박 속에서도 꿋꿋하게 우리말을 지켜왔듯 그들도 게일어라는 고유의 언어를 지켰다. 통일을 숙제로 하는 사실상 분단국가라는 점도 비슷하다. 과연 일왕은 언제쯤 영국의 여왕처럼 한국을 찾을 수 있을까?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1-05-19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