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나는 오늘도 줄타기를 한다/박건형 사회부 기자

[지금&여기] 나는 오늘도 줄타기를 한다/박건형 사회부 기자

입력 2011-10-29 00:00
수정 2011-10-29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건형 사회부 기자
박건형 사회부 기자
“교수님들이 연구성과를 쉽게 쓰는 걸 싫어하세요. 막 화도 내신다니까요.”

‘은·는·이·가’를 빼고는 어느 나라 말인지조차 알기 힘든 연구성과 자료를 받았다. 연구비를 지원한 한국연구재단 담당자에게 “왜 이렇게 어렵냐.”고 묻자 오히려 하소연을 한다. 쉽게 쓰면 ‘의도가 왜곡됐다’거나 ‘너무 앞서나간 자료’라는 식으로 항의를 한다는 거다. 교수에게 전화하자 “얘기한다고 알겠느냐.”는 반응이다. 기자들이 가장 궁금한 것 역시 독자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생체기전을 밝혔다’ ‘중간체를 규명했다’ ‘초신성을 찾았다’는 것은 쓰는 사람이나 읽는 독자 모두에게 전혀 와 닿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연구가 어떤 결과로 이어져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지, 또는 우주와 자연의 신비에 얼마나 더 가까이 가느냐다.

그래서 과학기자들은 매일 줄타기를 한다. 있는 그대로 결과만 전할 것이냐, 아니면 향후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냐. 가능성은 어디까지 적을 것인가를 고민한다. 수십년간 하루가 멀다 하고 암치료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거나 치료 후보물질을 개발했다는 기사가 쏟아져 나왔다. 그런데 왜 암은 아직 불치병의 영역에 있을까. 기사를 만들기 위한 언론의 과장이 지나친 기대를 만들어낸 것은 아닐까.

언론 때문에 웃음거리가 되고 항의에 시달린다는 과학자들의 억울함이 괜한 것만은 아니다. 언론에 대한 불신이 쌓여 만들어진 불친절인 셈이다. ‘과학과 언론’에 대해 과학저널 ‘네이처’는 이렇게 답했다. “과학과 저널리즘은 같은 기초 위에 있다. 두 집단은 모두 직업적으로 의문을 품는 (그리고 확인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다.” 결국 과학자와 기자는 서로의 입장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사이라는 얘기다. 과학이 어렵기만 한 학문이 아니고, 과학자가 불친절한 사람들이 아니라고 해명하고 싶다.

그래서 대답하기 싫어하는 과학자에게 끊임없이 질문한다. 과학자들도 질문하는 기자를 좋아했으면 한다.

kitsch@seoul.co.kr
2011-10-29 2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