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窓] 산에서 배워야할 마지막 한 가지/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생명의 窓] 산에서 배워야할 마지막 한 가지/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입력 2011-11-12 00:00
업데이트 2011-11-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가을 밤 빗소리를 듣는다. 모든 소리가 사라진 산사에서 듣는 빗소리는 선명하다. 작은 소리가 소리의 전부가 되는 것은 산사의 고요 때문이다. 이 순간 작은 소리와 큰 소리의 차이는 없다. 때로 작은 먼지 하나가 온 세계를 품는다는 의미를 이런 순간에 만나고는 한다. 작은 깨달음이다. 산은 이렇게 말 없이 깨달음의 순간을 조용하게 건네준다.

산에 들어와 산 지 오랜 시간이 지났다. 산은 처음 출가하던 그날부터 지금까지 내게 말 없는 스승으로 존재한다. 계절이 가면 가는 대로 계절의 모습을 그려내는 산의 그 텅 빈 마음이 좋았다. 시간은 지나갔으나 시간의 자취가 남지 않는 것이 산의 모습이다. 산의 한결같은 모습은 시간이 얼마나 허구인가를 보여준다. 그래서 사람들은 죽으면 산으로 떠나는지도 모르겠다. 상여소리를 울리며 산에 올라 주검을 묻는 것은 시간의 지배를 벗어나기를 기원하며 올리는 영원을 향한 인간의 아름다운 의식인지도 모른다.

나는 가끔 말한다. 햇살 맑은 날, 그 햇살을 타고 눈발이 날리는 날, 어느 산사의 다비 장에서 한 줌 불꽃으로 사라지고 싶다고. 솔향기 가득한 그 불 냄새를 맡고 떠나면 다음 생애에도 다시 산을 찾아와 이렇게 살 것만 같은 예감이 들기 때문이다. 솔향기 가득한 불길 위에 누워 아마 나는 기도하고 또 기도할 것이다. 다음 생애에도 이렇게 산에서 사는 수행자가 되거나 산을 지키는 나무가 되게 해달라고.

산에 사는 사람은 산에서 죽는 것이 꿈이기도 하다. 산에서 살다가 나이가 들어서 죽거나 사고로 죽어도 그 죽음의 장소가 산이라면 행복하지 않겠는가. 바람이 씻어주고 별들이 지켜보는 죽음이라면 그 죽음은 행복한 것일 수도 있다. 많이 안타깝지만 박영석 대장의 죽음도 그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행복이라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가장 순결한 곳에서 가장 아름다운 삶의 마침표를 찍은 것이기 때문이다.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곳에서 생을 마치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되겠는가. 이것은 삶의 집착을 떠난 사람만이 만날 수 있는 축복인지도 모른다.

죽음을 직시하는 사람에게는 두려움은 없다. 존재의 본질을 벗어나는 욕망도 없다. 죽음은 이미 우리들에게 많은 것을 비우라고 일러주기 때문이다. 비우지 않으면 탐욕과 분노와 두려움의 지배를 벗어날 수가 없다. 죽음을 생각하는 사람만이 탐욕의 부질없음과 두려움의 실체 없음을 깨달을 수가 있다. 산이 시간의 지배를 벗어난 것은 그 마음을 텅 비웠기 때문이다. 산은 스스로를 비워 수목을 자라게 하고, 물을 흐르게 하고, 저 태양과 별빛을 머물게 한다. 산은 스스로 살려고 하지 않음으로써 죽음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생사에 걸림 없는 자유는 이렇게 유위의 욕망을 떠났을 때 비로소 가능해진다.

죽음이 두려운 것은 삶에 집착할 때이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으면 그것은 이미 죽음이 아니다. 삶과 죽음의 구분은 두려움이기 때문이다. 나의 은사 스님은 죽음을 앞에 두고도 이웃 마을에 나들이 가듯이 “나, 내일 새벽에 갈라네.”하는 한 말씀을 남기셨을 뿐이다. 은사 스님에게 죽음은 한때의 나들이였다. 그 나들이 같은 죽음 앞에서 눈물은 부질없는 것이었다. 운다면 그것은 아직 죽음을 죽음으로 바라보는 어리석음의 표현일 뿐이었다. 그래도 나는 울었다. 눈물을 훔치며 어리석게 그렇게 은사 스님의 마지막 불꽃을 바라보았다. 은사 스님은 산이었다.

빗소리가 떨어져 사라진다. 소리가 사라지고 고요가 남는다. 빗소리의 낙하는 고요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죽음 역시 자기를 비워 본래의 자기로 돌아가는 시간이다. 본래의 자기를 찾아가는 그 길이 슬픔인 이유는 삶에 대한 집착 때문이다. 산은 살고자 하는 마음을 버려 영원을 산다. 산에서 내가 배워야 할 한 가지는 비움이다. 비우고 비워 내가 없다면 너와 나라는 분별도 없고 삶과 죽음이라는 구분 역시 사라질 것이다. 존재가 온 우주로 구현되는 순간, 삶은 비로소 고요한 자유가 된다. 산 아래 살면서 나는 얼마나 나를 비우고 있는가. 빗소리가 낙하해 고요가 되는 시간이 스스로 깊어간다.

2011-11-12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