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체크카드 수수료의 관행/전경하 경제부 기자

[지금&여기] 체크카드 수수료의 관행/전경하 경제부 기자

입력 2011-11-26 00:00
수정 2011-11-26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전경하 경제부 차장
전경하 경제부 차장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가 발발했을 때 영국에 막 거주를 시작했다. 대형 할인점에서 쇼핑을 하고 계산대에 서면 계산원이 캐시백을 원하냐고 물었다.

한국에서 쌓아뒀던 포인트가 영국으로 이전됐을 리 만무하고, 행여 혼란한 시기에 낯선 곳에서 피해를 입을까봐 늘 ‘아니오’라고 외쳤다. 한달쯤 지나 계속되는 질문에, 용기를 내 마음씨 좋아 보이는 중년의 계산원을 잡고 뭐냐고 물어봤다.

거기서 뜻하는 캐시백은, 체크카드로 물건을 살 때 은행에서 돈이 나오니까 현금을 원하면 같이 계산해서 주는 인출 서비스였다. 그 뒤로 나는 캐시백 애용자가 됐다. 편했으니까. 은행 업무시간 지났다고 수수료를 내야 할 까닭도 없었으니까.

영국의 대형 할인점들은 왜 그 서비스를 권했을까. 우리나라처럼 해당 금액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낸다면 그 서비스를 해줄수록 본인들이 내는 수수료가 많아질 텐데…. 체크카드 수수료가 금액 대비 정률이 아니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체크카드는 내 통장에서 바로 돈이 빠진다. 전산망을 이용하는 것은 알겠지만 왜 이용료가 사용금액의 일정 비율이 돼야 하는 걸까? 전산망이 물건값을 차별할 리는 없는데 말이다.

구간을 정해놓고 구간별 정액 수수료를 매겨 보면 어떨까. 현재 수수료 1%라면 1000원짜리를 팔 때마다 가맹사업자가 10원을 카드사에 내는 셈인데, 인출 한 건당 10원이나 20원을 30만원까지 적용하면 된다. 인터넷쇼핑에서 30만원 이상 결제할 경우 본인인증 절차를 강화하는 것처럼 말이다.

900조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가 경제를 위협하는 가장 큰 위험이라면 체크카드 소비를 더욱 늘려야 한다. 내년부터 체크카드 소득공제를 사용금액의 30%로 신용카드보다 높였다지만 그건 자기 소득의 25% 이상을 쓴 다음의 이야기다. 체크카드를 활성화하려면 신용카드와는 다른 잣대를 들이대야 한다.

경제활동 과정에서 관행처럼 해 오던 일이 많다. 금융이나 산업 모두 마찬가지다. 관행에 ‘왜’라는 질문을 던져보자. 그러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는 방법을 찾을 수도 있다.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현 상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lark3@seoul.co.kr
2011-11-26 2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