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피임약 논쟁, 누굴 위한 것인가/김소라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피임약 논쟁, 누굴 위한 것인가/김소라 사회부 기자

입력 2012-06-18 00:00
업데이트 2012-06-18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후피임약 논쟁은 누구의 이익도 아닌 여성의 삶과 건강 문제에서 출발해야 한다. 여성에게 필요한 것은 피임에 실패해 원치 않은 임신이 우려될 경우 신속하게 약에 접근하면서도, 전문가의 철저한 진단과 지도를 통해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러면서도 피임에 무지한 남성들이 피임의 책임을 여성에게 떠넘기는 수단으로 사후피임약이 악용되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김소라 사회부 기자
김소라 사회부 기자
중심은 여성이다. 때문에 쟁점은 ‘어디서’ 파느냐가 아니다. 산부인과의 처방을 받아야 한다면 여성들이 야간이나 공휴일에도 쉽게 산부인과를 찾고 의사의 성실한 처방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약국에서 바로 구입할 수 있다면 보다 철저한 복약지도와 오남용을 막을 수 있는 판매 체제가 갖춰져야 한다. ‘어디서’가 아닌 ‘어떻게’ 파는 것이 여성을 위해 최선인가가 핵심이다.

그러나 사후피임약을 놓고 힘겨루기에 한창인 의사와 약사 어느 쪽에도 여성들은 기대기 어려울 것 같다. 산부인과를 찾은 여성들 상당수는 “몇 마디 대화만 나누고 바로 처방전을 받았다.”, “간호사에게 말하니 바로 처방전을 발급해 줬다.”고 말하고 있다. 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 판매한다지만 한밤중이나 공휴일에 구입할 수 있을지 의문도 적잖다.

의사나 약사 모두의 노력과 희생이 필요하다. 의사들은 야간 및 공휴일 진료를 늘리는 한편 ‘산부인과에 가는 게 두렵다.’는 여성들의 호소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약사들은 당번 약국을 보다 확대·시행하며 허술한 복약지도 관행을 전반적으로 고쳐야 할 것이다. ‘제대로 처방하겠다.’, ‘복약지도 꼼꼼히 하겠다.’는 다짐만 되뇌일 것이 아니라 여성의 삶과 건강을 위해 실질적인 고민과 준비가 돼 있는지 묻고 싶다.

지금부터라도 여성을 위한, 여성에 의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2-06-18 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