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窓] 비가 오는 날은 세상이 따뜻하다/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생명의 窓] 비가 오는 날은 세상이 따뜻하다/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입력 2012-06-23 00:00
업데이트 2012-06-2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가 온다. 오랜 가뭄 끝에 비가 온다. 굵은 빗줄기들이 뚝뚝 떨어진다. 마른 땅 어디인들 이 빗줄기가 반갑지 않겠는가. 땅이 온몸을 적시는 소리가 빗소리에 섞여 들려온다. 하늘과 비가 오랜 갈등 끝에 비로소 화해하는 것만 같다. 갈라질 대로 갈라진 땅의 가슴은 이제 이 빗줄기에 상처를 봉합하고 다시 작물의 뿌리를 감싸는 어머니로 돌아가리라.

이미지 확대
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독일 작가 마르틴 발저는 비 오는 날의 감성을 이렇게 풀어내고 있다. “초원과 두세 그루의 전나무들이 보였다. 비가 오고 있었다. ‘비는 물로 된 실을 갖고서 젖은 옷을 짜고 있다’고 나는 생각했다. 창 밖을 내다보면 우리는 모두 시인이 된다.” 비가 오면 나도 시인이 되는 걸까. 비가 오면 나는 그윽해진다. 모든 것을 보다 깊이 보고 멀리 보게 된다. 세상 모든 것에 반응하며 부딪치는 내가 아니라 세상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조용하고 평화로운 나를 만나게 된다. 비가 내리면 나의 감성은 내게 감응의 평화를 일깨워준다.

비가 오는 날 산길을 걷다 보면 풀잎이 더욱 선명하게 반짝이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내 모습과는 정반대이다. 비가 내리면 나는 온통 젖어서 그 빛을 잃는데 풀잎들은 더욱 반짝이며 깨어난다. 비 오는 날의 풀잎은 꽃보다도 예쁘다.

나는 가만히 생각해 보았다. 비가 오는 날 왜 풀잎은 비에 젖지 않는 것일까. 길을 걸으며 비에 젖지 않는 풀잎은 나의 화두가 된다. 곰곰이 생각하며 길을 걷다가 젖어야 할 것이 없기 때문에 풀잎은 젖지 않는다는 답 하나를 얻는다. 그리고 나는 나의 답에다 공식을 대입한다. 그 공식이란 부처님과 수보리라는 제자의 대화이다. 부처님이 깨달은 자에게 ‘깨달음을 성취했다는 생각이 일어나겠느냐’고 물으신다. 그러자 깨달은 자는 ‘그런 생각이 없다’고 답한다. 부처님의 질문과 제자의 대답과 나의 생각은 일치한다. 나는 고개를 끄덕인다. 진리의 세계에서 ‘나’라든가 ‘주장’은 부질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풀잎은 이미 진리였던 것이다.

나는 언제나 나를 껴안고 살아왔다. 그러나 지금은 그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가를 알고 있다. 내가 매일 만나는 나무와 풀과 하늘이 내게 그것을 일러 주었다. 그 덕에 이제 나를 버리고 사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일인가를 나는 깨달아 가고 있다. 나를 껴안고 사는 일은 타인과 부딪치는 일이고, 나를 버리고 사는 일은 타인과 하나가 되어 살아가는 일이라는 행복의 공식 하나를 알게 된 것이다. 이것은 모두 ‘감성 수행’의 결과라고 나는 생각한다.

나는 나를 스스로 ‘감성의 수행자’라고 부른다. 참선과 경전에서보다 자연 속에서 더 많은 것들을 깨닫기 때문이다. 자연은 부처님의 원음이 살아 있는 교실이 되어 언제나 내게 다가온다. 그 진리의 교실에서 나는 빗소리를 들으며 내가 씻기어 가는 모습을 보고 ‘나’ 없는 길의 자유를 느낀다. 감성은 이렇게 자연이라는 진리에 이르는 길이 되어 나를 안내한다.

창 밖을 보면 우린 모두 시인이 된다는 말이 가슴에 여운을 남긴다. 그 말은 감성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라는 말이기도 하다. 감성을 가지고 바라보면 모든 것이 따뜻하게 다가온다. 햇살 한 줌도 바람 한 자락도 소중하게 다가오는 사람에게 타인의 상처는 얼마나 아프게 다가오겠는가. 우리가 매일 만나는 학교폭력이나 가정의 폭력이라는 문제들도 어쩌면 감성의 결여에서 오는 것인지도 모른다.

길을 가다가 바람 한 줄기에 걸음을 멈추어 본 적이 있는가. 비가 내리는 날 창을 열고 빗줄기를 바라본 적이 있는가. 그리고 별을 보고 가만히 탄성을 발한 적이 있는가. 누군가 아픈 사람에게 마음의 수건을 꺼내어 그의 가슴을 덮어준 적 있는가. 이 얼마나 멋진 일인가. 우린 왜 멋진 일들을 포기하고 서로 등 돌리고 살아가려 하는가.

비가 내리면 세상이 더욱 따뜻한 것은 빗소리가 감성을 깨우기 때문이다. 감성은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처음이다.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존재의 아름다움으로 우리 살아간다면 이 세상 어디엔들 꽃이 피지 않겠는가.

2012-06-23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