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강릉 단오제/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강릉 단오제/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2-06-25 00:00
업데이트 2012-06-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월이라 단옷날은/추천(韆·그네뛰기)하는 명절인데/녹의홍상(綠衣紅裳) 미녀들은/님과 서로 뛰노는데/우리 님은 어딜 갔기에/추천 뛰잔 말이 없나” 제주지방 민요에서 보듯 여자들의 문밖 출입이 금지되던 옛날, 남녀 간에 사랑이 이뤄지던 때가 바로 단옷날이었다. 이몽룡이 그네 뛰는 춘향의 자태를 처음 보고 연정을 품었던 날도 단오다.

음력 5월 5일, 단오는 일명 수릿날(戌衣日·水瀨日)·중오절(重午節)·천중절(天中節)·단양(端陽)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단’(端)자는 첫 번째를 뜻한다. ‘오’(午)자는 오(五)와 통해, 즉 다섯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단오는 ‘초닷새’라는 뜻이 된다. 일년 중에서 가장 양기가 왕성한 날이라 해서 큰 명절로 여겨왔고, 각 지역에서 다양한 축제를 벌였다. 단오의 풍경은 혜원 신윤복의 그림 중 백미로 꼽히는 ‘단오도’(端午圖)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000년 역사의 ‘강릉 단오제’가 가장 유명하다. 일제 강점기에도 강릉에서는 일제 압박의 눈을 피해 단오제가 열렸다니 놀랍다. 6·25전쟁 때도 맥을 이어왔다고 한다. 이 덕분에 강릉 단오제는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 13호로 등록됐다. 이어 2005년 11월에는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등재돼 전 세계의 인류가 보존해야 할 문화유산이 됐다.

중국에서는 단오라는 말만 나오면 반한(反韓) 감정을 드러낸다고 한다. 자신들의 전통 명절인 단오를 빼앗겼다는 생각에서다. 중국의 단오는 중국 초나라 회왕 때 간신들의 모함에 지조를 보이고자 투신자살한 굴원(屈原)이라는 신하를 위로하기 위한 제사에서 시작됐다고 한다. 굴원이 멱라수에 몸을 던진 그날이 5월 5일이었다. 하지만 우리의 단오는 굴원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지금 강릉에서는 단오제가 한창이다. 주신인 대관령의 국사 성황신께 드릴 술을 빚는 일을 시작으로, 성황신을 모시는 영신제, 신을 대관령으로 보내는 송신제 등 전통 민속축제의 원형성을 그대로 간직한 행사들이 한달 동안 열린다. 단오굿과 관노가면극 등도 펼쳐진다. 타향살이 하는 이들도 단오가 되면 고향에 가고 싶은 마음에 엉덩이가 들썩일 만큼 단오제는 진정한 지역 축제로 자리 잡았다.

신과 인간의 만남에서 시작된 강릉 단오제는 이제는 그리운 사람들을 만나 흥겹게 즐기는 한마당이 된 것이다. 그런데 어찌 지역 공동체 의식을 다지는 축제로 승화한 강릉 단오제가 중국 단오와 같을 수 있겠는가.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2-06-25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