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50년 만의 기우제/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50년 만의 기우제/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2-06-28 00:00
업데이트 2012-06-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뭄 귀신이 사납게 굴어 농사에서 바랄 것이 없고, 하늘이 경고를 보이니 갑절 두려워하고 조심해야 할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고종 38년(1901년) 토목공사를 중지하라는 명을 내리면서 이같이 적어 놓았다. 실록에는 어떤 해에는 극심한 가뭄으로 길바닥에 시체가 즐비했다는 내용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가뭄이 잦았던 것 같다. 음력 4월에서 7월 사이는 기우제가 연중행사처럼 거행됐다. 태종 재위 18년간 기우제의 기록이 없는 해는 태종 3년(1403년) 한 해뿐이다. 1416년에는 무려 아홉 번이나 기우제를 지냈다. 나라에서 주관한 기우제를 ‘국행기우제’라고 하는데 각 명산이나 큰 강 등에서 거행됐다. 민간에서는 절의 스님들이나 마을의 장이 주민들과 함께 기우제를 올렸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용이 비를 지배한다고 믿어 용신(龍神)에게 지렁이를 바치는 기우제를 지내는 풍습이 아직까지 내려오고 있다. 일본의 기우제에도 용이 등장한다. 사이타마현의 한 시에서는 4년에 한 번씩 8월에 기우제를 지내는데, 보릿짚과 대나무로 용 모양을 만들어 남자 300명이 그것을 짊어지고 마을 안을 걷다가 연못에 들어가 물보라를 일으키며 비가 오기를 빈다고 한다.

서양에서는 그리스·로마 신화에 나오는 주신인 제우스가 비를 내린다고 믿었기에 제우스의 신목(神木)인 떡갈나무 가지에 물을 적셔 기도를 드렸다고 한다. 인도에서는 개구리에게 물을 뿌리거나 뱀의 모조품을 만들어 물을 뿌리거나 끼얹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북미 원주민인 인디언 호피족들은 애리조나 사막에서 농사를 짓는 부족이다. 이들이 기우제를 지내면 언제나 비가 내린다고 한다. 비가 안 오면 정성이 부족해서라며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를 지내기 때문이란다.

최악의 가뭄이 계속되고 있다. 두달 가까이 비가 오지 않아 농민들의 마음이 까맣게 타들어가고 있다. 그러자 강원도의 한 마을에서 50년 만에 기우제를 지냈다. 자식 같은 농작물이 죽어가자 주민들이 정성껏 목욕재계하고 비를 기원하는 간절한 마음을 모았단다. 충남의 한 지역에서도 농민단체들이 지푸라기라도 잡는 절박한 심정으로 지역특산물이자 물에서 사는 낙지 조형물을 세우고 기우제를 올렸다.

21세기에 무슨 기우제냐 하겠지만 농민들의 지극한 정성이 하늘에 통하길 바랄 뿐이다. 이 와중에 벌어지는 4대강이 홍수에 도움을 줬느니 마느니 하는 논란이 농민들에게는 참 한가로운 짓으로 느껴질 것 같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2-06-28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