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남과 여/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남과 여/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2-06-30 00:00
업데이트 2012-06-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구상의 절반은 남자이고 절반은 여자다. 남자는 여자와 오랜 세월 서로 머리를 맞대고 살아와 서로를 잘 알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중국의 음양오행사상에선 남자는 양(陽), 여자는 음(陰)이라고 해 서로를 대척점에 두고 있다. 하늘인 남자와 땅인 여자가 서로 융합이 잘되면 세상이 화평하지만 현실에선 그것이 그리 쉽지 않다.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라는 책에서 갈파했듯이 남녀간에는 단순한 이분법적 구도를 뛰어넘는 미묘한 차이가 아주 많다.

맞벌이 부부가 함께 승용차를 타고 퇴근하다 남편이 오늘 저녁은 근사한 데 가서 외식이나 하고 가자고 호기를 부린다. 아내는 밀린 빨래도 해야 하고 아이들 숙제도 봐줘야 한다며 다음으로 미루자고 한다. 한껏 분위기를 내려던 남편은 기분이 상한다. 어느 날 전업주부인 아내가 직장으로 전화를 걸어온다. 왜 전화했냐고 물어보는 남편에게 아내는 ‘그냥’이라고 말한다. 이럴 때 “지금 바쁜데 할 말 있으면 이따 집에 가서 얘기 해.”하고 전화를 끊으면 빵점 남편이다. 반면 ‘그냥’이라는 말에 감을 잡고 “야, 오늘 가을 하늘이 왜 이리 시리도록 푸르지.”하고 맞장구를 쳐야 센스 있는 가장이라고 부부관계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가깝고도 먼 것이 남녀관계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훨씬 더 현실적이고 감정에 치우치지 않는다. 반면 남성은 기분에 휩쓸리기 쉽고 생각보다 행동이 앞선다. 생물학적으로도 남자는 힘을 바탕으로 식량을 조달해 왔고, 여자들은 자녀 양육 등 모성의 본능이 있다. 남자는 남자의 방식대로 사고하고 대화하고 행동한다. 반면 여자는 여자의 방식대로 생활하다 보니 오해가 생기고 대화가 되지 않아 벽이 생긴다. 한 결혼정보회사가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를 어떻게 해소하느냐고 물어본 결과 서로 다른 답이 나왔다. 아내는 남편과 회사 일을 이야기하며 풀려고 하는데 남편은 직장에서의 일을 이야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성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 등 공감을 통해 스트레스를 푸는 데 반해 남성들은 조용히 혼자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지 못해 남자, 여자를 뛰어넘어 부부 또는 가정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모든 것을 숙명처럼 받아들이는, 검은 머리가 파뿌리가 되도록 사는 시대가 더 이상 아니다. 절반에 대해서, 상대편에 대해서 좀 더 알게 되면 갈등과 오해가 해소될 수 있다. 서로가 서로에 대해 공부를 해야 한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2-06-30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