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리틀 싸이’ 악플 유감/육철수 논설위원

[씨줄날줄] ‘리틀 싸이’ 악플 유감/육철수 논설위원

입력 2013-05-03 00:00
업데이트 2013-05-03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60년대 초반, 내가 어린 시절을 보낸 경기도 파주에는 미군들이 많았다. 바로 옆집에 한국 어머니와 흑인 병사 사이에 태어난 ‘톰’이라는 아이가 살았는데, 나보다 한 살 아래였다. 피부가 검어 동네 아이들이 좀처럼 같이 놀아주지 않았다. 톰은 이웃사촌인 내가 기댈 만했던지 귀찮을 만큼 나만 졸졸 따라다녔다. 그가 철석같이 믿었던 나도 가끔 쥐어박고 “튀기!”라며 놀려댔다. 어느 날부터 톰은 미군부대에서 나온 초콜릿을 거의 매일 ‘상납’하기 시작했다. 그게 톰의 생존본능이었다는 걸 어른이 되어서야 깨달았다. 인종차별이 뭔지도 몰랐던 대여섯 살 철부지 때 일이지만, 톰의 어린 마음에 박혔을 커다란 상처를 떠올리면 요즘도 가슴이 뜨끔뜨끔해진다.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에 출연해 귀여움을 받는 ‘리틀 싸이’ 황민우(8)군이 악성 댓글(악플)에 시달린다는 소식이다. 민우의 어머니가 베트남 출신이라는 게 그 이유란다. 기가 막힌다. 수백 개나 되는, 차마 입에 담을 수 없는 악플 탓에 민우가 받은 충격과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니란다. 지각없는 사람들이 민우의 재능의 싹을 짓밟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다. 마침 경찰이 수사에 나섰으니 악플러들의 못된 버릇을 단단히 고쳐 놓길 바란다.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역사는 2000년이 넘었다. 금관가야의 시조 김수로왕이 인도(아유타국)의 공주 허황옥과 결혼한 게 시초로 전해진다. 지금은 다문화가정이 20만 가구를 넘었다. 모두가 살가운 우리 이웃이고 당당한 우리 국민이다. 하지만 사회 일각에 이들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민우군의 뛰어난 재능은 그 자체로 사랑받는 것이다. 그가 누구의 아들이라고 해서 그의 재능이 달라지는 건 아니지 않은가.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는 혈통이 복잡하다. 그는 언젠가 방송에 나와 “나는 코블리네시안(Caublinasian)”이라고 말했다. 이는 우즈가 직접 만든 용어다. 자신에겐 백인(Caucasian), 흑인(Black), 인디언(Native Indian), 아시아인(Asian)의 피가 흐른다는 얘기였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흑인 아버지와 백인 어머니를 뒀다. 그의 친척들이 다 모이면 ‘미니 유엔’으로 불릴 정도란다. 그런 오바마도 ‘오레오 쿠키’(속은 하얗고 겉은 까만 과자로 인종차별적 의미)라며 조롱을 받았지만 혈통의 차별을 이겨내고 세계적 지도자가 됐다. 민우군도 저질 네티즌의 악담일랑 아예 무시하고 오바마나 우즈처럼 자기 분야에서 세계 정상에 오르도록 재능을 맘껏 펼치길 바라는 마음이다.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2013-05-03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