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69년 무교동 유흥가의 네온사인

[DB를 열다] 1969년 무교동 유흥가의 네온사인

입력 2013-05-13 00:00
업데이트 2013-05-13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색 찬연했던 무교동의 네온사인도 이제 일장춘몽처럼 찾을 길이 없다. 1960~70년대 서울 유흥가의 중심은 무교동과 명동이었다. 금융가가 밀집했던 명동과 사무실의 집결지였던 무교동은 밤이면 명멸하는 불빛 아래 이성을 잃은 듯 흥청대는 주객들로 넘쳐났다. 통금이 있던 그때, 밤 11시가 넘으면 일찌감치 만취한 군상들이 골목을 헤집고 다니며 마지막 주흥을 불사르곤 했다. 주머니에 돈이 얼마나 있느냐 하는 것은 중요치 않았다. 암울했던 당시 세상사를 한탄하기도 하고 또 미래의 희망을 이야기하기도 하며 몇 잔의 대폿잔에도 금방 취해 버렸다.

주점과 음식점들이 번성했던 무교동 유흥가란 옛 중부소방서(현재 파이낸스 빌딩 옆 공원 자리)에서 광교에 이르는 500여m의 무교로를 가운데 두고 좌우의 무교동, 다동, 서린동 일대를 일컬었던 말이다. ‘스타다스트’ 같은 대형 나이트클럽과 극장식 식당, 대중음식점들이 빽빽하게 들어서 있었다. 스타다스트 옆에는 무교동 낙지골목이라 하여 60여개의 낙지 전문 음식점들이 주당들을 유혹했다. 음악다방 ‘쎄시봉’도 근처에 자리 잡았었다.

무교동이 쇠락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중반 그 일대가 재개발 지역으로 지정되고 강남이 개발되면서 유흥주점들이 옮겨 가던 때부터다. 도로가 확장되고 고층건물들이 들어서면서 그 시절 술꾼들의 애환이 서린 장소도 함께 자취를 감추고 기억 속에만 남게 되었다. 사진은 1969년 12월에 촬영한 무교동의 한밤 네온사인 풍경이다.

손성진 기자 sonsj@seoul.co.kr

2013-05-13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