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내실있는 문화선진국으로/임형주 팝페라 테너

[문화마당] 내실있는 문화선진국으로/임형주 팝페라 테너

입력 2013-05-30 00:00
업데이트 2013-05-30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임형주 팝페라 테너
임형주 팝페라 테너
최근 반가운 전화를 한 통 받았다. 예전부터 친하게 지내던 선배였다. 선배는 독일에서 오랜 유학생활을 마치고 드디어 국내에 돌아온다면서 한껏 들떠 있었다. 시간 가는 줄 모르던 수다 끝에, 선배는 다음 달 서울에 있는 한 유명 공연장 체임버홀에서 귀국 독주회를 하니까 꼭 보러 와 달라고 말했다. 진심으로 축하의 말을 전하며 꼭 참석하겠다고 한 뒤 전화를 끊었다.

이후 긴 생각에 잠겼다. 선배의 고향은 부산이다. 이번에 귀국하면 고향에 살면서 연주 활동과 후학 양성을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정작 자신의 첫 귀국 독주회장은 서울이다. 게다가 연고지가 아니라서 주위 사람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하느라 무척 지치고 힘들어 막상 귀국 독주회 준비는 제대로 못 하고 있다고 했다. 선배의 실력이 워낙 출중하니 걱정은 없지만, 그야말로 고생을 사서 하는 듯해 안타까웠다. 물론 서울이 다른 지역보다 문화적 환경이 잘 구축돼 있어서 그렇게 결정했을 것이다. 어느 공연장에서 연주를 하든 그것은 연주자 개개인의 자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상업적 독주회가 아닌, 그동안 자신이 어떻게 공부했는지 성과를 보여주고 국내 활동 시작에 앞서 포부를 전하는 자리라면, 당연히 앞으로 자신이 활동할 곳에서 하는 것이 누가 봐도 수긍할 수 있는 모양새가 아닐까. 그랬다면 시간을 허비하는 일 없이 독주회 준비에 더 충실할 수 있었을 것이다.

선배의 행동이 잘못됐다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필자가 하고 싶은 말은 지금부터다.

예전부터 국내 음악계에서는 ‘과시성’ 귀국 독주회나 독창회가 성행했다. 적지 않은 음악 전공생들이 해외 유학을 갈 때 음악학교의 ‘간판’부터 따졌다. 자신의 음악인생에 가장 중대한 영향을 끼칠 스승은 그 다음이다. 진정한 배움이나 가르침보다 학벌, 학력이 먼저라는 식이다. ‘음악 엘리트 코스’라는 단어로 함축되는 과시적 행보가 국내 음악계에선 ‘현재진행형’이다. 이것은 귀국 독주회로도 이어져 연고지와 상관없이 서울의 대표적 공연장인 예술의전당이나 세종문화회관, LG아트센터 같은 곳을 선호한다.

과거 우리나라의 문화적 혜택이 풍요롭지 않던 시절에는 외국에서 공부를 하고 연주활동을 한다는 것, 그 자체로 크게 인정받았다. 국제 음악콩쿠르에서 입상하기란 하늘의 별 따기였고,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는 것이 대단한 영광이어서 그런 경력들이 음악가를 소개하고 평가하는 수단이 됐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수많은 음악 인재를 배출하고, K팝으로 세계를 물들이는 문화선진국이다. 관객들도 음악가의 본질적 음악성이나 실력을 그 자체로 판단할 ‘좋은 귀’를 가졌다. 더 이상 국내 음악계가 1960~1970년대식 잣대와 평가의 기준에 머무를 수 없다는 말이다.

첼리스트 파블로 카잘스, 피아니스트 반 클라이번 등 전설적 대가들은 학벌과 유명 공연장의 연주경력 등이 오히려 자신의 음악활동에 독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화려한 학벌과 경력에 끌려 공연을 보러 온 대중은 그 음악가에게 큰 기대를 걸고, 눈높이 자체를 높게 맞추어 평가하려 든다. 그에 부응하지 못할 경우가 더 많다. 연주자는 관객에게 외면당하는 불행을 겪는다. 이제는 자신의 실력을 포장할 허울을 벗어버리길 바란다. ‘좋은 귀’를 가진 대중과 ‘멋진 실력’을 품은 연주자들이 어우러져 훌륭한 공연을 만들어 내는, 내실 있는 ‘문화선진국’이 돼야 한다.

2013-05-30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