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창조경제, 창의적 인력 양성에서/김화종 강원대 컴퓨터정보통신과 교수

[지방시대] 창조경제, 창의적 인력 양성에서/김화종 강원대 컴퓨터정보통신과 교수

입력 2013-09-10 00:00
업데이트 2013-09-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화종 강원대 컴퓨터정보통신과 교수
김화종 강원대 컴퓨터정보통신과 교수
우리의 일상생활과 경제 활동을 획기적으로 바꾸고 있는 스마트폰의 핵심적인 특징은 애플리케이션(앱)의 도입이다. 대규모 개발 조직과 유통 채널을 가지지 않고도 앱을 통하여서 창조적이며 파격적인 아이디어가 쉽게 상용화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된 것이다. 메시지 서비스로 출발한 앱인 카톡은 이제 메시지뿐 아니라 음성, 사진, 동영상, 소셜 네트워킹, 게임, 전자상거래 등 영향력을 점차 넓히고 있으며 모든 관련 기업이 긴장하고 있다. 아마 세계 통신의 역사를 다시 쓸지도 모른다. 또한 몇 년 전까지 세계 최고의 휴대전화 회사였던 노키아가 매각된 것을 보면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ICT) 홍수 속에 살아남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실감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창조경제를 강조하는 것은 이러한 치열한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긴박한 상황에서 나온 목표 설정인 것이다. 창조경제의 정의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우리는 창조경제라는 키워드를 통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는 알 수 있다.

지금보다 더 치열해질 미래 창조경제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창의적 인력의 양성이다. 창조경제의 핵심 자원이 될 인재가 갖추어야 할 첫 번째 소양은 데이터 분석 능력일 것이다. 이제 전 세계인은 같은 스펙을 갖는 스마트폰을 사용한다. 인터넷과 검색 포털은 전 세계 누구에게나 같은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제 도구와 콘텐츠 재료에 있어 차별성은 없어졌으며 데이터 분석과 활용 능력에서 경쟁력이 판가름난다.

앞으로 스마트폰과 인터넷은 더 진화할 것이며,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우리는 점차 데이터에 기반한, 고도화하고 빨라진 서비스를 받게 됨으로써 글로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이에 대비해 우리는 환경, 에너지, 식량, 교통, 건강 의료, 교육, 문화, 경제, 경영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데이터 분석 마인드를 갖도록 해야 한다. 이제 영어는 누구나 알아야 하는 도구이며 영문학 전공자에게만 의존하지 않는 것과 같다. 데이터 분석과 활용 능력은 통계학, 프로그래밍, 액셀 등을 배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교육은 달라져야 하며 점차 복합화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현안 문제를 여러 전문 분야 사람들이 협력하여 해결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창의성은 문제 해결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창의적 인력 양성과 관련하여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도 중요하다. 소프트웨어는 단순히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술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문제를 잘 듣고, 정확히 문제를 찾아내고, 문제를 해결하는 논리를 찾는 과정, 즉 여러 분야의 문제해결 도구로서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것이다. 자동차의 동작 원리, 엔진의 동작, 브레이크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면 자동차 전자제어 프로그램을 짤 수 없는 것과 같다.

우리나라가 창조경제로 선진국이 되려면 데이터 분석과 활용을 다루는 데이터 사이언스를 물리나 화학처럼 기초적인 과학 분야로 집중 육성해야 할 것이다.

2013-09-10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