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거리예술을 감상하는 법/조선희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시론] 거리예술을 감상하는 법/조선희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입력 2013-10-18 00:00
업데이트 2013-10-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선희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조선희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길이 재미있어진다. 거리에 볼거리가 많아진다. 10월 들어 광화문 ·시청 일대에선 하이서울페스티벌, 서울드럼페스티벌, 서울아리랑페스티벌 등 거리축제들이 잇따랐다. 서울뿐만 아니라 여러 지자체들도 조금씩 성격이 다른 다양한 거리축제들을 벌이고 있다. 경기 과천, 고양, 안산이 모두 거리예술축제를 해오고 있다.

몇 해 전만 해도 ‘거리예술’은 일반인들에게 낯선 단어였다. 거리에서 초상화를 그려주거나 기타치고 노래 부르는 예술가들을 연상시키는 단어였다. 하지만 거리예술은 거리음악이나 미술뿐 아니라 거리극에서 스트리트댄스, 마술, 서커스, 퍼레이드, 불꽃공연까지 훨씬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다. 거리예술은 요 몇 해 사이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진화하는, 가장 놀라운 변화속도를 보여주는 예술장르다. 그야말로 작년 다르고 올해 다르다.

이번 하이서울페스티벌 폐막 날에는 태평로와 서울광장에 각종 거리예술이 총출동했다. 그날 저녁 서울광장 상공에서 거대한 철제바퀴를 둘러싼 공중곡예를 멀리서 보며 프랑스나 스페인 공연팀인가 했던 나는 그것이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에 있는 ‘프로젝트 날다’의 신작인 것을 알고 깜짝 놀랐다. 또 젊은 부부가 리어카 위에 작은 집을 지어 끌고 다니며 아코디언, 피아노, 마두금을 치며 노래 부르고 풍선 바람 빠지는 소리로 ‘엘리제를 위하여’를 연주하는 ‘음악당 달다’ 역시 우리 거리예술의 변화무쌍함을 말해주었다.

지난 주말에는 선유도에서 거리예술장터가 열렸다.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이 함께 준비한 일종의 거리예술박람회인데, 선유도 곳곳에서 다채로운 거리극과 인형극, 마술쇼, 퍼레이드 등이 벌어졌다. 거리예술가들과 축제관계자, 정책담당자를 위한 쇼케이스이기도 했지만 공원에 나들이 나온 시민들에게는 뜻밖의 선물이었다. 가을 저녁의 싸늘한 강바람 속에 많은 시민들이 남아서 공연을 즐겼다. 음악, 무용, 연극 등 예술장르에 대해 고정관념을 가진 대개의 시민들에게 이 퍼포먼스들은 기상천외한 미적 체험이었을 것이다. 고급한 무대장치가 없는 거리극에서는 허접스러운 비닐봉지가 집이 되기도 하고 이불이 되기도 하고 배우들은 흙바닥에서 흙먼지 날리며 뛰고 구르고 관객들을 불러내기도 하고 관객들 사이로 비집고 들기도 한다.

거리예술은 공간의 한계, 표현양식의 틀을 초월해 자유분방한 상상력을 보여주는 만큼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다만 극장공연과는 달리 입장료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재생산 시스템의 난점이 있다. 몇 군데 거리예술축제들에 초청되면 공연료를 받지만 이것은 최소한의 제작비와 활동비에 해당하는 것이라 대부분의 거리예술가들은 이른바 ‘알바’로 생계를 해결한다. 유럽의 도시에 가면 길모퉁이에서 바이올린 케이스나 모자를 놓고 공연을 하는 거리예술가들을 흔히 볼 수 있다. 공연 도중이나 공연이 끝나면 행인들이 동전을 던져 넣는다. 거리의 연주자들 중에는 줄리어드음대 출신들도 더러 있다고 한다.

서울에도 요새 인사동이나 대학로에서 거리 연주자들을 이따금씩 볼 수 있다. 홍대 앞에는 버스커 공연이 하나의 지역문화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아직 한국에선 멀쩡한 음악대학을 나와 거리에서 연주하고 행인들의 돈을 받는 걸 부끄럽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시민들도 돈을 던져 넣는 것을 겸연쩍게 생각하기도 한다.

이제 가동 중지된 광진구 구의취수장을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에서 거리예술 창작센터로 조성하고 있다. 거리예술 창작센터는 시의적절할 뿐 아니라 늦은 감마저 있다. 이제 막 싹을 틔운 한국의 거리예술이 한때의 유행으로 시들지 않고 활짝 꽃피려면 공공 지원뿐 아니라 민간의 후원도 필요하다. 거리에서 예술가들을 쉽게 만날 수 있고 그들의 공연을 보면 약간의 사례를 하는 문화가 자리 잡게 되길 바란다.

2013-10-18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