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우주여행의 명과 암/임형주 팝페라 테너

[문화마당] 우주여행의 명과 암/임형주 팝페라 테너

입력 2013-10-24 00:00
수정 2013-10-24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임형주 팝페라 테너
임형주 팝페라 테너
며칠 전 오랜만에 극장에서 영화 한 편을 관람했다. 필자가 본 영화는 ‘그래비티’였는데, 이는 요즘 전 세계 박스오피스를 빠른 속도로 점령하며 큰 화제를 불러 모으고 있는 할리우드의 기대작이다.

어찌 보면 단순한 우주 이야기로 비춰질 수도 있지만 감독인 알폰소 쿠아론은 이 영화에 인간의 본질과 내면을 사실적으로 그려 내며 휴머니즘을 불어넣었다. 그 공간이 우주든 지구든, 어디든 간에 죽음을 앞둔 인간 극도의 불안과 공포에도 살아보겠다는 삶에 대한 애착과 집념 등을 심도있게 그려 내며 인류애적인 메시지까지 담아내는 데 성공한 것이다.

아마 필자에게는 최근 몇 년간 본 영화 중 가장 큰 울림을 준 명작영화였다. 더군다나 아이맥스, 3D로도 동시 개봉되어 마치 영화를 보면서 진짜 우주여행을 하는 듯한 최고의 몰입감까지 선사해 주었다.

여하튼 이 영화를 보며 현대과학문명의 발달이 어디까지 왔는지를 새삼 가늠해볼 수 있었다. 일례로 얼마 전 영국이 배출한 세계적 팝페라 가수 겸 소프라노인 사라 브라이트만이 2015년 러시아 소유스 로켓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까지 여행하는 차기 우주인이자 역대 8번째 우주 여행객에 선정되었다는 기사가 전 세계 언론들의 큰 주목을 받았던 것을 말해보고자 한다.

이제는 많이 알려진 이야기이지만 우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국제우주인 훈련센터가 자리한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해 그곳에서 건강검진 및 각종 테스트를 거쳐야 함은 물론 우주인이 되기 위한 수개월의 혹독한 훈련을 성공적으로 거쳐야만 한다. 또한 1인당 최소 2000만 달러(약 230억원)로 알려진 어마어마한 여행경비까지 내야 하니 정말이지 사서 고생하는 격이다.

일반인들에게 우주여행이 개방된 것은 2001년이었다. 당시 미국의 억만장자 기업가 데니스 티토가 민간인 신분으로서는 최초로 개인적인 우주여행을 한 이후 전 세계의 억만장자들과 유명 인사들이 마치 우주를 해외 관광이라도 하듯 ‘우주여행’을 다녀오고 있다. 이쯤 되면 ‘우주관광’이란 단어가 더 어울리는 것 같다.

엄청난 비용과 지옥훈련을 감수하면서도 ‘우주여행’을 떠나는 것은 결코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생일대의 특별한 경험이며 지극히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이다. 그렇기에 그에 대해 왈가왈부하거나 손가락질할 자격이 필자에겐 없다.

그럼에도 조금 아쉬운 점은 어떠한 중대한 연구나 실험 등을 위한 방문이 아닌, 단지 해외 여행 가듯 지극히 사적인 여행일 수밖에 없는 우주여행을 일반인들에게 개방한 것은 개인적으로는 아직 시기상조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 이젠 돈만 있으면 할 수 있는 수많은 관광 목록 중에 ‘우주여행’까지 추가되었으니 말이다. 이러다간 수십 년 안에 ‘지구인’과 ‘우주인’이란 단어가 또 다른 신분계급을 나누는 표현이 될 날이 도래할지도 모를 일이다. 더불어 ‘파리 에펠탑을 가보고 싶어서, 중국 만리장성을 올라가고 싶어서’가 아닌 “난 언제 돈 벌어서 우주여행을 하고 달나라를 가보지?”라는 푸념이 지구촌 곳곳에서 쏟아질 날이 머지않았는지도 모른다.

현대과학문명의 발전은 매우 달가운 일이지만 마음 한편으로 밀려오는 허무함은 비단 필자만 느끼는 감정일까. 우주여행이 21세기 자본주의를 대변하는 또 다른 단면이 될 수도 있다.

2013-10-24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