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窓] 일곱 살배기의 지적/차동엽 신부·인천가톨릭대 교수

[생명의 窓] 일곱 살배기의 지적/차동엽 신부·인천가톨릭대 교수

입력 2013-10-26 00:00
업데이트 2013-10-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차동엽 신부·인천가톨릭대 교수
차동엽 신부·인천가톨릭대 교수
내가 처음으로 안나를 알게 된 것은 1991년 말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어린왕자’와 ‘모모’,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의 ‘제제’를 만난 이후 너무 오래도록 논리 편향의 공부에만 몰두해 왔던 터라, 내 마음은 그야말로 삭막함 자체였다. 그래 나는 내 잠든 동심을 일깨워줄 무언가를 찾고 있었다. 바로 그 계제에 한 유학생을 통하여 소개받은 인물이 안나였다. 일곱 살배기 안나! 안나는 하느님을 ‘미스터 갓’이라 불렀다.

“사람들은 저마다의 관점, 그러니까 ‘보는 지점’ 또는 ‘보는 위치’들을 가지고 있잖아. 그렇지만 미스터 갓은 ‘봐야 될 지점들’만 가지고 있어.” 천재성이 번득이는 이 말은 내 사고방식을 송두리째 뒤집어 놓았다. 지금 이 아이는 무어라고 말하고 있는가. 그러니까 안나의 말은 우리들이 흔히 쓰는 관용어에 대한 뒤집기 발상이었던 셈이다. 우리는 습관처럼 ‘관점’이라는 말을 쓴다. 영어로 point of view(보는 지점). 그런데 이 아이는 자유롭게 언어의 족쇄를 벗어나 point to view(봐야 할 지점)라는 역발상을 한다. 옛말로 역지사지(易地思之)가 되겠다.

이 아이는 우리의 언어문화에 대해 메가톤급 비평을 가하고 있다. 우리가 아무런 경계 없이 사용해온 ‘관점’이라는 단어가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깨닫게 해주고 있으니 말이다. ‘보는 지점’이라는 말은 정해진 자리에서 자기 중심으로 무엇인가를 바라볼 때 사용될 수 있다. 반면 ‘봐야 될 지점들’이란 말은 자기 중심을 탈피해서 상대방의 입장, 혹은 있을 수 있는 모든 가능성들의 처지에 서서 어떤 대상을 들여다 볼 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은 ‘보는 지점’만을 가지고 있고, 미스터 갓은 ‘봐야 될 지점들’을 가지고 있다고 안나는 얘기했던 것이다.

안나는 오늘 우리 사회에도 희망적인 영감을 준다. 우리가 처한 정치·사회적 긴장국면은 한마디로 여러 관점의 충돌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이럴 때 ‘관점’(point of view)이라는 관습어 대신 ‘봐야 할 지점들’(points to view), 더 줄여서 ‘볼 점’이라는 신조어가 대중화된다면, 그 자체로 융화의 실마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안나는 ‘Hi, 미스터 갓’이라는 책 속의 주인공이다. 안나는 실존했던 인물이다. 책의 가명 저자 스무 살 ‘핀’은 어느 날 밤 런던의 부둣가를 산책하다 우연히 다섯 살 꼬마 ‘안나’를 만나게 된다. 집을 나온 꼬마는 술주정뱅이 아빠와 무관심한 엄마를 둔 가정에서 학대받는 아이였던 것! 둘은 금방 친구가 되고 그날로 핀은 안나와 함께 살게 된다. 둘의 만남은 서로에게 전혀 다른 세상을 비춰주고, 이내 보석처럼 빛나는 진리의 조각들로 차곡차곡 새겨진다.

유학 당시 안나를 혼자만 아는 것이 너무 아까워 시간 나는 대로 번역을 해 봤다. 아직 우리나라가 국제 저작권 협약의 예외국으로 인정받고 있던 때였다. 하지만 곧 우리나라도 저작권 효력이 발효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하는 수 없이 내 졸역은 선행 계약에 밀려 차례가 오기를 마냥 기다려야 했다. 돌이켜 보니 꼬박 20년 걸렸다. 20년 만의 커밍아웃! 반갑기 짝이 없다.

하던 말을 마저 하자면 지금 우리 사회는 복잡다단한 양상의 갈등으로 엄청난 비용을 치르고 있다. 선진국 초입에서 발목이 잡혀 정체를 면치 못하고 있다. 거듭 말하거니와 갈등 해소의 기초는 서로 ‘봐야 할 지점’들을 충분히 봐 주는 것이다. 그래야 주관을 떠나 객관을 온전히 담보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선행되지 않는 대화는 함께 나누는 ‘독백’일 뿐이다.

2013-10-26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