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우리의 삶은 문화재 아닌가/오상도 문화부 기자

[지금&여기] 우리의 삶은 문화재 아닌가/오상도 문화부 기자

입력 2013-10-26 00:00
업데이트 2013-10-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상이나 가는가. 그것은 꿀단지요, 참기름병이었다.

이미지 확대
오상도 문화부 기자
오상도 문화부 기자
연꽃과 갈대, 국화, 모란, 버드나무는 물론 학이나 구름을 음각 혹은 상감 문양으로 정성스럽게 새겨 유약을 바른 뒤 구워낸 ‘고려청자’ 이야기다. 은은한 비색이 풍기는 화려한 풍채 덕분에 최고 수천 만원을 호가하고, 혹여 손때나 탈까 제대로 만져보지도 못한 귀한 그릇이다. 풍만하고 당당하게 벌어진 어깨, 밑으로 내려올수록 우아한 선은 조형적인 면에서 높은 완성도를 보여준다는 평가까지 받아 왔다. 그런 청자가 당시 사람들에게는 꿀이나 참기름, 술을 담아 보관하던 단순한 용기에 불과했다면 얼마나 허무한 일인가. 고려청자에 대한 고정관념이 깨진 것은 3년여 전이다. 13세기 초 전라도 강진에서 개경으로 곡물을 싣고 가다 충남 태안 마도 해역에 침몰한 ‘마도 2호선’이 발굴되면서부터다.

선박 내부에서 출토된 도자기는 모두 163점이었는데, 이 중 140점이 청자였다. 또 청자 가운데 매병(梅甁) 2점에는 죽찰(竹札·나무로 만든 이름표)이 달렸다. 여기에는 내용물과 명칭, 받는 사람의 이름이 적혔다. 이를 통해 음각문양이 장식된 매병에는 꿀이, 상감문양이 장식된 매병에는 참기름이 담겼던 것으로 밝혀졌다. 망각하지 말아야 할 사실도 있었다. 두점의 청자에 담긴 꿀과 참기름은 고려시대 최고 권력기구인 중방(重房) 도장교인 오문부에게 보냈던 것이다. 지방의 토호나 권력자가 청탁의 대가로 중앙의 권력자에게 은밀히 보내던 뇌물일 수도 있는데, 죽찰을 통해 뒤늦게 세상에 알려졌다. 벼·조·메밀·들깨 등의 곡물과 함께 보냈던 선물들이 무려 800여년의 시간을 건너뛰어 모조리 드러난 셈이다.

최근 전남 진도 앞바다의 해저 유물 발굴 현장을 다녀왔다. 짧게는 수백 년, 길게는 1000년 넘게 갯벌이 보듬어온 유물들은 당시 삶의 모습을 속속들이 보여주는 것이다. 철제 솥부터 무늬가 없는 투박한 토기, 다듬잇돌, 동전까지 역사의 파도를 거슬러 올라갔다. 기껏 100년 살다가는 인생인데, 보잘것없는 인간들이 남긴 물건들은 어느 새 역사요, 문화재가 돼 있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도 평소 옷매무새 하나 흐트러지지 않게 가다듬을 일이다. 세상에 그야말로 비밀은 없다. 별 생각 없이 내뱉은 욕설이나 남을 비방하는 댓글도 후대에는 사료나 문화재로 전해질 수 있다. 하루하루는 소중한 삶이요, 또 역사다.

sdoh@seoul.co.kr

2013-10-26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