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기부문화와 유림공원/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지방시대] 기부문화와 유림공원/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입력 2013-10-29 00:00
업데이트 2013-10-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여러 가지 이유로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불안을 느낀다.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는 모르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독일의 유명한 철학자 하이데거는 저서 ‘존재와 시간’에서 사람이 불안해 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불안과 근심의 신 ‘쿠라’는 우연히 진흙을 발견하고 그 진흙으로 사람을 빚었다. 쿠라는 그 사람을 데리고 ‘유피테르’를 찾아가서 영혼을 불어넣어 달라고 부탁했다. 유피테르는 흙으로 빚어진 사람에게 정성껏 영혼을 불어넣어 주었는데, 이렇게 태어난 사람이 너무나 마음에 들었다. 그래서 유피테르는 쿠라에게 자신이 영혼을 불어넣었으니 자신에게 사람의 소유권이 있다고 주장했다. 쿠라도 자신이 빚은 사람에게 영혼까지 들어갔으니 탐이 나기는 마찬가지였다.

쿠라와 유피테르가 옥신각신 다투는 것을 보고 땅의 신인 ‘텔루스’도 인간에 대한 욕심을 숨길 수가 없었다. 그래서 두 신에게 텔루스는 자신의 일부인 흙으로 사람을 만들었으니 자기에게도 소유권이 있다고 우겼다. 이들은 결국 시간의 신인 ‘사투른’을 찾아갔다. 셋의 얘기를 들은 사투른은 나름대로 공정한 판정을 내렸다. 즉 사람이 죽으면 사람의 재료인 흙은 텔루스가 갖고, 사람의 영혼은 유피테르가 그때 다시 찾아가면 된다. 그러나 살아 있는 동안만은 사람을 만든 쿠라와 함께 사는 것이 좋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이데거는 현명한지 아니면 현명하지 못한지 모를 이 같은 사투른의 판단에 따라 사람은 살아 있는 동안 불안과 근심의 신인 쿠라와 살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그래서 사람은 늘 불안한 존재라는 것이 하이데거가 내린 결론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불안한 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 무엇을 할까.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우리가 느끼기에 기부만 한 것도 없을 것이다.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참 다양한 기부를 한다. 돈에서 재능까지, 각자 자신이 갖고 있는 것들을 기꺼이 내놓는다. 대전에는 이런 기부문화로 생긴 유림공원이 있다. 2007년 갑천 하천국유지를 국토해양부로부터 무상 양도받아 대전의 대표적 건설회사 대표가 무려 100억을 기부하여 조성한 공원이다.

약 4만㎡ 규모로 조성된 유림공원에는 수목, 초화류, 그리고 갖가지 식물을 다양하게 심어 우리나라 4계절의 모습을 한곳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유림공원에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반 지도 모양의 인공호수가 있어 휴식은 물론 축제와 공연이 가능해 다목적 생태공원으로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가을을 상징하는 꽃은 참 많다. 그중에서도 국화만 한 것이 없을 것이다. 바로 이 유림공원에서 요즘 국화전시회가 이루어지고 있다. 무려 삼천만 송이란다. 가을이면 전국 방방곡곡에서 국화전시회가 여럿 열리지만 그 규모나 꽃의 수에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올가을은 예전 가을에 비해 날씨가 범상치 않다. 이번 주말 유림공원의 삼천만 송이 국화를 감상하면서 불안과 근심을 기부문화로 승화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해 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2013-10-29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