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빼어난 지질유산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황상구 안동대 지질학과 교수

[기고] 빼어난 지질유산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황상구 안동대 지질학과 교수

입력 2013-10-29 00:00
수정 2013-10-29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21세기는 자연환경의 이해를 떠나 생활할 수 없고 여가생활을 즐기는 사회가 될 것이다. 우리의 자연은 예로부터 금수강산이라 일컫는 빼어난 지질유산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후손 대대로 물려줄 우리의 지질유산을 어떻게 활용하고 지킬 것인가를 고심해야 한다.

황상구 안동대 지질학과 교수
황상구 안동대 지질학과 교수
지질유산은 자연계의 발달 과정, 특히 지질과정 중에 생겨난 흔적이 일정한 장소에 남아 있는 특이한 자취를 말한다. 이러한 지질유산은 그 성격이 시공간적으로 다르거나 변화하는 가변성, 상대성과 편재성을 띤다. 자연과학의 발전 이전에는 지질유산에 해당하지 않았던 것이 지금은 특이한 과정을 설명해주는 곳이 지질유산으로 인식되는 가변성을 가진다. 또한 자연과학 선진국에서는 매우 중요시되는 지질유산이 후진국에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할 뿐더러 개발에 장애요인으로 생각하는 상대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지질유산으로 인정되는 장소는 어느 한 지역에만 존재하는 편재성을 가진다.

세계적인 지질유산은 학술적으로는 말할 필요가 없을 뿐더러 학습자원으로, 또한 관광자원으로 더 큰 가치를 가진다. 따라서 이 기회에 우리는 과학과 문화 국민으로 나아가기 위해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한 시의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면 국내의 세계적인 지질유산을 어떻게 보존할 것인가. 정부는 중요한 지질유산이 위치하는 지질명소들을 묶어서 지질공원으로 인증해 놓아야만 한다. 우리는 이 지질공원을 보존하고 적절한 활용을 위해서 잘 지켜야만 한다. 그리고 희귀한 지질명소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자연과학적인 가치를 보전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지질유산도 문화유산과 같이 보존해야 할 국가적인 자산이기 때문이다.

이 국가적인 지질유산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희귀한 지질유산이 위치하는 곳은 특이한 지질을 이룰 뿐만 아니라 경관도 빼어난 곳이 많아 흔히 자연박물관을 연상케 한다. 그래서 이러한 곳을 지질공원으로 인증해 관광자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인간과 자연이 만나는 시각적인 충격으로부터 보는 이들의 사고와 상상의 지평을 넓혀줄 것이다.

우리는 지질공원을 현장 학습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을 생각해 봐야 한다. 지질명소는 작은 면적을 차지할지라도 매우 다양한 형성 과정을 간직하고 있는 지질학의 축소판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지적 호기심과 동경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어릴 때부터 자연과의 만남은 자연의 이해력과 탐구력을 길러줄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이러한 힘은 자연을 접하면서 얻어지는 것이지 책에 의해 암기식으로 습득해서는 한계가 있다.

과학과 문화선진국은 국민들이 자연환경을 보편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는 자연에 대해 더 많이 자세하게 알아야만 한다.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사랑하게 된다는 말은 자연환경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자연관에 대한 깊은 성찰을 바탕으로 지질공원이 우리에게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밝은 등불이 되기를 바랄 뿐이다. 그리하여 지질공원이라는 시공간에서 자연과 사람이 통하고 지식과 삶이 화해되는 쾌적한 자연환경을 만들어 가야만 한다.

2013-10-29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