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교과서는 쉬워져야 한다/황수정 문화부장

[데스크 시각] 교과서는 쉬워져야 한다/황수정 문화부장

입력 2013-11-08 00:00
업데이트 2013-11-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황수정 문화부장
황수정 문화부장
얼마 전 한 모임에서 나온 이야기다. 한참 육아와 교육이 화제가 됐는데, 농반진반 불거진 말이 “엄마들이 설거지할 시간을 온전히 돌려받았으면 좋겠다”였다. 그 자리의 학부모들이 입을 모은 핵심어는 명료했다. 여러 말 필요없이 교육정책이 목표로 잡아야 할 최고선은 학생들이 그 학년 차에 맞게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실제적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이란 주장이었다.

자연스럽게 초등학교 교과 과목들이 도마 위에 올랐다. 난이도가 너무 높아 아이가 혼자 공부를 하려야 할 수가 없다는 성토가 이어졌다. 모든 과목이 다 그렇지만 사회 과목에 대한 원성은 특히나 높았다. 엄마들은 안다. 초등 사회 과목이 3학년쯤 난이도가 갑자기 높아졌다, 그 이상의 학년이 되면 영재가 아니고서야 난공불락의 성벽이 된다는 사실을. 무엇보다 교과서만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현실이 난감하다. 교과서에는 각 단원에서 배울 주요 내용만 뭉텅뭉텅 지시어처럼 제시될 뿐이다.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너무나 빈약한 교과서만으로는 스스로의 학습이 애초에 불가능하다. 그래서 참고서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교과서를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한 보조교재가 아니라 없으면 학습이 이뤄지지 않는 근거자료인 셈이다. 국정교과서가 단원별 학습 내용만 맛보기로 흘려놓고는 참고서 출판사들에 장사를 시켜주는 짬짬이를 한 걸까 의문이 들 정도다.

그런 참고서의 난이도는 또 얼마를 상상하든 그 이상이다. 아이가 숙제를 하고 엄마는 설거지를 하는, 평화로운 풍경은 현실에 없다. 아이가 공부하면 엄마도 꼼짝없이 붙들려 공부해 ‘줘야’ 한다. 해당 학령의 초등생이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한자투성이의 단어가 한 문장에도 서너 개씩 나오는 탓이다. 뿐만 아니다. 예전엔 중학교에서나 배웠던 내용이 별 근거도 없이 초등 3, 4학년 교과서로 옮겨 온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초등 5학년 사회 과목에는 입이 벌어진다. 한해 동안 선사시대부터 현대사까지 모조리 배우게 돼 있다. 앞뒤 맥락의 이해는 애당초 언감생심. 연대별 왕의 이름과 업적을 무조건 달달 외우는 ‘촉’을 개발시키는 것 말고는 뾰족한 수가 없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눈을 돌리는 방책이 공부방이며, 과외학원이다. 사교육을 멀리하리라 굳게 먹었던 부모들의 마음을 한방에 무너뜨리는 주범이 다름 아닌 어려운 교과서 내용과 뒤죽박죽인 교육과정인 것이다.

며칠 전 한국교총의 ‘새 교육 개혁 창립포럼’ 토론회는 반가웠다. 교과서의 ‘실수요자’ 입장에서 보면 한국사 교과서 좌우 편향 논쟁은 대수가 아니다. 토론회에 참석한 현직 교사들은 잦은 개편으로 교육과정이 뒤엉킨 데다 정부가 정한 교과서 내용의 난이도가 심하게 높다는 지적을 쏟아냈다. 고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교사는 전근대사의 경우 중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이 고등학교의 것보다 훨씬 더 어렵다고 인정했다.

청소년들의 몸집이 예전보다 커졌다고 지적 이해능력도 따라 높아졌을까. 그렇지 않다. 어려워진 교과서가 학생들의 지적 능력을 끌어올려 줄까. 그렇지 않다. 학습의 기본도구인 교과서가 어려워지면 길을 잃고 책을 덮는 학생은 더 많아진다.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한 우리 교육정책의 근간은 첫째도, 둘째도 ‘자기주도학습’이다. 그러고선 정작 학생들에게는 요령부득의 교과서를 떠안기는 형국이다. 영희도, 철수도 혼자 힘으로 교과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교과서는 쉬워져야 한다.

sjh@seoul.co.kr

2013-11-08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