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닭의 새끼가 발 벗었다고…/송한수 사회2부 부장급

[데스크 시각] 닭의 새끼가 발 벗었다고…/송한수 사회2부 부장급

입력 2013-11-19 00:00
업데이트 2013-11-19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송한수 사회2부 부장급
송한수 사회2부 부장급
기억이 오롯하다. 1983년 요맘때다. 어느 여자대학교에 갔다. 비탈진 곳이었다. 꽤 많은 계단을 세며 올라갔다. 그러나 즐거웠다. 금남(禁男)의 철문을 뚫었다는 생각에 더했다. 이른바 도강(盜講)을 하러 옮긴 발길이다. 딴 여대에 몸담은 L 교수가 강사였다. 당대 최고의 지성으로 불렸다. 행동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따랐지만 나중에 문화장관까지 지냈다.

강의는 ‘덤’을 실마리로 풀어갔다. 우리 전통적 정서엔 ‘덤 문화’가 깊숙이 자리했다고 운을 뗐다. 그래서 정(情)이 그득한 민족이란다. 하나라도 더 얹어주려는 마음 씀씀이다. L 교수는 사례도 손꼽았다. 백화점 사탕 판매원 얘기다. A는 됫박에 불룩하게 담았다가 덜어냈다. B는 조금 적은 듯하게 담았다가 채웠다. 실제론 같은 양이다. 저울로 달아야 한다. 그런데 매출이 사뭇 달랐다. B가 손님을 더 모았다. 더 퍼줬다는 인상을 남긴 것이다. A는 거꾸로다. 올렸다가 깎은 셈. 고약한 이미지만 안겼을 터다.

당시 언론엔 기초질서 문제가 불거졌던 듯하다. 군사정권이 국민을 길들이느라 ‘질서, 질서’ 외쳤다. L 교수는 칼날을 세웠다. 짜맞춘 듯한 질서는 아예 우리네에겐 없단다. 적당한 무질서 또한 ‘덤 문화’가 가진 장점이라고 했다. 눈치껏 사정을 살펴 서로 양보하는 마음가짐, 웬만한 것엔 융통성을 발휘하는 여유를 사례로 들었다. 뾰족한 지적도 빼놓지 않았다. ‘덤 문화’가 나랏일에 얽히면 매우 나쁜 결과를 낳는다고 그는 덧붙였다. 공(公)과 사(私) 구분에 커다란 걸림돌이라고 말이다.

그리고 30년이 흘렀다. L 교수 얘기를 불러낸 까닭은 이렇다. 엊그제 취재원을 만났다. 식사하러 가는 길이었다. 낯선 교량인데 새로 지었냐고 물었다. “우리나라 높은 사람들은 예로부터 표시를 남기려고만 해요” 돌아온 대답이다. “무슨 뜻이죠” 되물었다. “글쎄, 바로 옆에 다리가 있는데 또 만들었지 뭡니까. 그러니 돈이 남아나지 않죠. 역대 대통령도 마찬가지예요. 자기 이름 석 자 새기려고, 돈을 마구 쓰니 결국 국민만 딱해집니다. 미래 대비는 헛말입니다. 복지를 둘러싼 난리 보세요.”

속담에 “닭의 새끼가 발을 벗으니 오뉴월만 여긴다”고 한다. 병아리가 맨발로 다니니 따뜻한 때로 안다는 뜻이다. 세상물정에 어둠을 뼈아프게 꼬집는다. 정부에선 경제가 좋다지만 국민 체감은 전혀 아니다. 무책임한 선심성 정책이나 예산 편성이 빚는 폐해는 덤 문화 때문에 생기는 개인적인 비리에 견줘 한층 크다. 심각성은 이것으로 그치지 않는다. 정책 최일선인 기초지자체마다 심각한 재정난을 앓는다. 그런데 정부 예산은 광역자치단체로, 광역단체에선 기초단체로 흐르지 않는다. 따로 노는 꼴이다.

자신들의 이름을 빛내려는 것인가. 무엇이 불요불급하며 무엇이 필수불가결인지 순위를 잘 매겨야 함은 물론이다. 진짜 국민을 웃게 하려면 일만 벌일 게 아니라 정책을 잘 알려 제대로 구현해야 한다. 기왕 벌인 일을 잘 갈무리하는 게 훨씬 중요하다.

‘한 가지 이로운 일을 시작하는 것은 한 가지 해로운 일을 없애는 것만 못하고, 한 가지 일을 만들어 내는 것은 한 가지 일을 줄이는 것만 못하다(興一利不若除一害, 生一事不若滅一事)’. 800년 전 몽골 제국의 한 재상이 남긴 말이다.

onekor@seoul.co.kr

2013-11-19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