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투브의 로고
드레이크 맥훠터라는 스타 유투버가 했다는 말이다. 26만여명 구독자를 보유한 그가 2016년 한 달간 휴식한 뒤 쉬기 전의 페이지 뷰를 회복하는 데 1년이 걸렸다고 한다. 그는 “유튜브는 러닝머신”이라는 말도 남겼다. 번아웃에 시달리고 있는 유튜브 스타들에 관한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사에 소개됐다.
미국 CNN은 이런 종류의 번아웃을 “더 광범위한 정보기술(IT) 산업 전반의 시대적 징후”로 예상했다. “콘텐츠 플랫폼이든, 차량호출 서비스든 많은 사람이 정규직의 혜택 없이, 그리고 정체를 알 수 없는 알고리즘이 언젠가 처벌할 수 있다는 두려움을 안은 채 최대한 일 해야 한다는 압박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속속 잠정 활동 중단을 선언하는 스타 유투버들이 늘고 있다. 개인으로 가장 먼저 구독자 1억 명을 돌파한 퓨디파이는 최근 동영상에서 “나는 지쳤다”며 잠정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 코미디 듀오 쌍둥이 형제 이선·그레이슨 돌런도 지난 10월 휴식을 선언하면서, “정신건강을 위해서”라고 했다. 14살 때부터 5년간 매주 화요일에 유튜브에 새 동영상을 올려왔는데, “우리는 (사람들로부터) 동떨어질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쉴 수 없는 일을 하고 있다. 엄마를 보러 집에 갈 수조차 없었다”고 토로했다. 구독자 1150만 명을 거느린 알렉스 와사비는 스스로에게 일주일간 휴가를 주면서 “최근 나는 행복하지 않았다. 슬펐고 혼란스러웠다. 무엇보다 번아웃됐다”고 밝혔다.
이쯤 되자 수전 워치츠키 유튜브 최고경영자(CEO)가 휴식을 권고하고 나섰다. 최근 크리에이터들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을 잘 돌보고 회복에 투자하라고 권유하고 싶다”고 했다. 그러나 유튜버들은 휴식을 취한 뒤 자신의 동영상이 눈에 잘 띄지 않게 될 것을 두려워한다고 WSJ은 전했다.
한국의 누군가는 ‘번아웃 타령’을 행복에 겨운 소리로 여길지 모르겠다. 최근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발표한 초등학생 희망직업 조사에서 1위 운동선수, 2위 교사에 이어 ‘크리에이터’(유튜버, BJ 등)가 3위였다. 유튜버를 꿈꾸는 어린이들과, 자녀들을 유튜버로 키우고 싶어 하는 부모들이 많아지면서 관련 강의도 우후죽순 늘고 있다. 미디어업체에 백화점 문화센터, 사설 학원, 개인 강사까지 관련 강의를 개설하고 있다. 강의료는 회당 3만∼5만 원 가량.
유튜버 교육은 노년층에도 확산돼있다. 대학교 평생교육원에도 유튜브 크리에이터 과정 개설 붐이 불고 있다. 은퇴·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시니어 유튜버 양성과정’, 멀티미디어를 중심으로 하는 ‘1인 유튜버 미디어 과정’, 지역에 기반을 둔 ‘00문화 유튜버 과정’ 등이 운영되고 있다.
이럴진대, 우리도 번아웃 선언이 뒤따를 날이 머지 않을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