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언어를 머리 빗듯이/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2030 세대] 언어를 머리 빗듯이/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입력 2019-02-07 22:26
업데이트 2019-02-08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기원전 5세기 역사가이자 작가인 투키디데스는 그리스의 역사와 정치문화를 기록하고 분석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기’ 중 그는 내란에 빠진 도시국가를 묘사한다. 질서는 무너졌다. 누구나 복수하고, 복수는 정의롭다 여겼다. 공공의 이익을 생각해 정치적인 소신을 가지게 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같이 죄를 저질렀으니 죄인도 없었다.

여기서 투키디데스가 지적한 것이 의외로 언어의 변질성이다. 환경이 바뀌면 언어의 지시 대상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무모함은 용맹함으로, 신중한 자는 겁쟁이로 여겼다. 음모에 가담하면 강하고, 그렇지 않으면 약하게 보았다. 어느 그리스 사람은 이런 역설을 씁쓸한 마음으로 지켜봤을 것이다. 투키디데스는 나아가 말한다. 혼돈 속에서 다수의 평등한 권리를 약속하는 민주주의도, 귀족층의 지혜를 일컫는 과두정치도 빈 단어들을 사용할 뿐이라고. 이런 현상은 인간의 본성이 변하지 않는 이상 영원히 반복되리라고 투키디데스는 예언했다. 등줄기가 차가워진다.

1949년 영국의 작가 조지 오웰은 그의 마지막 작품 ‘1984’를 출간한다. 조지 오웰이 상상하는 전체주의 사회, 여기서 언어는 또다시 폭력의 산파역을 맡는다.

‘전쟁은 평화이고 자유는 예속이고 무지가 힘이다.’ 오세아니아-조지 오웰이 만든 가상의 나라-는 그렇게 자기 정당화한다. 이렇게 오래 듣고 믿으면 언어와 진실 사이의 괴리를 잊게 된다.

언어는 결국 닻 없는 배와 같이 떠다닌다. ‘정의’나 ‘진실’은 정의로운 것과 진실한 것에 더이상 구속되지 않는다. 인간이 오히려 언어에 기만을 당한다. ‘성자’라는 단어가 분별없이 쓰이는 것을 보고 조지 오웰은 ‘간디에 대한 소견’에서 ‘모든 성자는 무죄가 입증될 때까지 유죄다’라고 쓴소리를 내놓기도 한다.

무엇보다 위험한 것은 자신에게 속삭이는 말이다. 알고도 모르게 언어를 느슨히 이해하며 본인의 행동을 스스로에게, 그리고 남에게 강요한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언어를 휘젓고 있다.

CS 루이스의 ‘스쿠르테이프의 편지’를 보면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사람들은 자주 ‘내 시간은 소중하다’ 아니면 ‘내 몸은 내 마음대로’라고 말한다. 얼핏 들으면 논쟁이 필요 없을 것 같다. ‘내 것’이라는 말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렇게 당연한 얘기도 아니다. ‘나의 몸’은 ‘나의 신발’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는가? ‘나의 신발’, ‘나의 강아지’, ‘나의 어머니’, ‘나의 신’은 어떤가? 이렇게 ‘나의 언어’는 왜곡된다. ‘민주주의에 따르면’이라고 말할 때 민주주의가 선호하는 행동을 얘기하는 것인가, 아님 민주주의를 보존하는 행동을 얘기하는 것인가? 이 두 가지 의미가 같을 거란 보장은 없다고 아리스토텔레스가 오래전에 지적했다.

자신의 언어를 머리 빗듯이 성찰할 시간이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하지만 말을 뱉기 전에 멈칫하는 정도는 누구나 할 수 있다.
2019-02-08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