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차라리 송도세브란스병원 부지 환매해야

[지방시대] 차라리 송도세브란스병원 부지 환매해야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입력 2024-05-17 03:05
업데이트 2024-05-17 0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천 송도국제도시 주민들이 오매불망 기다리는 송도세브란스병원 개원이 또다시 연기될 모양이다. 연세의료원 내부에서 “재정이 극도로 나빠져 공사비를 감당할 수 없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의사들의 병원 이탈로 적자가 심각해져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송도를 관할하는 이재호 인천 연수구청장도 연세대 관계자로부터 2026년 12월 준공이 어렵다는 말을 들었다며 그동안 면제해 줬던 세금 추징을 예고했다.

연세대의 송도병원 건립 지연 전술은 처음이 아니다. 인천시와 연세대는 2006년 1월 송도에 국제캠퍼스 조성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인천시가 약 182만㎡를 두 단계로 나눠 조성 원가로 공급하는 대신 연세대는 2010년까지 대학과 세브란스병원 등을 짓기로 했다. 대학은 2010년 3월 개교했지만 병원 건립 약속 등은 아직도 지켜지지 않았다.

병원 건립이 계속 늦어지자 인천시는 2018년 3월 연세대와 2단계 사업 협약을 맺으면서 2020년 착공하고 올해 준공하기로 다시 약속했다. 당시 시민단체들은 ‘선거용 특혜’라며 반발했지만, 시는 연세대를 한 번 더 믿기로 했다. 그러나 연세대는 2020년 착공 약속일이 임박해도 2단계 세부 사업계획을 시에 제출하지 않았다. 오히려 개원 시기를 2027년 이후로 늦추려는 의도까지 엿보였다.

이번 재정 악화설도 병원 착공을 또다시 연기하려는 지연 전술로 보인다. 인근 주민들 말을 들어보면 송도세브란스 건립 공사는 2022년 12월 시작했으나 이후 공사를 하는 둥 마는 둥 의지가 없어 보였다고 한다. 기자가 지난해 7월 찾아갔을 때 굴착기 몇 대가 터파기 공사 중이었는데 며칠 전 방문했을 때도 그대로였다. 아파트 신축현장 같으면 벌써 골조공사가 절반쯤 이상 올라갔다.

이같이 번번이 약속을 어기는 연세대를 보면 과연 병원을 지을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 든다. 준공 일정은 밝혀도 개원 예정일은 밝히지 않고 있는 걸 보면 유감스럽게도 믿음이 가질 않는다. 인천시도 문제다. 축구장 20개 면적의 수천억원대 땅을 헐값에 특정 사립학교에 억지로 안겨 주는 것은 누구를 위한 행정인지 따져 묻지 않을 수 없다.

인천에는 인하대병원, 길병원 등 오랜 세월 지역을 지켜온 내로라하는 토종 대학병원들이 있다. 연세대를 향한 지나친 구애는 그런 인천 토박이 병원들에는 자괴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정도껏 했으면 한다. 지방정부가 유권자 마음을 얻기 위해 특정 의료재단에 엄청난 경제적 특혜를 몰아주는 것은 혈세를 낭비하는 배임에 해당할 수 있다. 매매계약 해지 사유가 반복해서 발생하는데도 계약을 유지하는 것은 직무유기로 비칠 수 있다.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이재호 연수구청장 경고처럼 면제해 줬던 세금을 가산세 포함해 징수하고 연세대와의 토지매매계약을 해지함으로써 인천의 자존심을 되찾는 게 낫지 않을까 싶다. 그 방향이 인천 시민들로부터 더 큰 박수를 받는 길이다.

한상봉 전국부 기자

이미지 확대
한상봉 전국부 기자
한상봉 전국부 기자
2024-05-17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