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지방대 살리기, 또 변죽만 울릴 건가

[지방시대] 지방대 살리기, 또 변죽만 울릴 건가

김정호 기자
김정호 기자
입력 2024-05-23 23:58
업데이트 2024-05-28 1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방대들이 서로 뭉치고 있다. 살기 위해서다. 통합하지 않으면 머지않아 사라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직면했다. 2024학년도 대입 정시 모집에서 전국 190개 대학 4889개 학과 가운데 35개 대학 163개 학과는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이 가운데 34개 대학 162개 학과는 모두 지방에 있다.

올해 국내 대학 입학 자원은 39만 8000여명으로 10년 전인 2014년 57만여명보다 30% 이상 줄어들었다. 대학 입학 정원(49만 3000명)에도 미치지 못했다. 대학에 들어올 학생보다 대학 정원이 많은 것이어서 미달이 불가피한 구조가 됐다.

전문가들은 지방대의 몰락을 막을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진단한다. 이미 지방 곳곳의 대학들이 사라졌다. 2000년대 들어 폐교한 지방대는 전문대와 대학원을 포함해 20곳에 달한다.

지방대들은 통합으로 살길을 찾고 있지만 서로 다른 대학이 하나로 합쳐지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대학 구성원들 사이에서 불협화음이 일어난다. 대학 본부가 통합에 드라이브를 걸자마자 재학생, 동문회가 거세게 반발하기 일쑤다. 통합 대학 간 교명을 놓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기도 한다.

정부가 지방대 통합을 위해 꺼낸 카드는 ‘글로컬대학사업’이다. 글로컬은 글로벌(global·세계적)과 로컬(local·지역적)을 합한 말이다. 혁신 의지와 역량을 갖춘 비수도권 지역 대학 30곳을 선정해 학교별로 5년간 1000억원을 지원해 세계적인 대학으로 키운다는 것인데 통합에 방점이 찍혀 있다. 그동안 정부가 시행한 대학 지원 사업 가장 최대 규모다.

글로컬대학사업이 죽어 가는 지방대를 살릴 수 있을까. 일시적으로 인공호흡기를 달아 주는 것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지방대가 통합으로 정원을 줄여 당장은 신입생 미달 사태를 면할 수는 있다. 하지만 머지않아 또다시 신입생을 구하지 못해 애를 먹을 게 뻔하기 때문이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40년 대학 입학 자원은 올해보다 30% 감소한 28만명에 머문다고 한다.

지방대의 위기를 부른 건 학령인구 감소만이 아니다. 수도권 대학 중심으로 강고하게 짜인 서열화가 더 큰 원인이다. ‘서연고’로 시작되는 10여개 대학 리스트는 모두 수도권 대학으로 채워졌다. 다른 나라에서 찾아보기 힘든 ‘초집중’이다. 일본에서 5대 명문으로 꼽히는 대학 가운데 3곳은 수도인 도쿄가 아닌 지방에 있다고 한다.

지방대의 위기는 ‘지방의 위기’의 축소판이다. 효율성만을 따지는 시장 논리로 접근해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 늦은 감은 있지만 2000년대부터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중앙이 쥐고 있는 돈과 권력을 지방으로 하나씩 떼어 주는 것처럼 수도권 대학이 기득권을 내려놓게 해야 한다. 지방대들이 부르짖는 수도권 대학 정원 축소나 학부 폐지를 이젠 귓등으로 흘려버려서는 안 된다. 본질을 외면한 채 변죽만 울리는 정책으로 지방대를 살리기에는 지방대가 처한 현실이 너무 엄중하다.

김정호 전국부 기자

이미지 확대
김정호 전국부 기자
김정호 전국부 기자
2024-05-24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