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몸으로 익히는 공부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몸으로 익히는 공부

입력 2020-01-21 17:38
수정 2020-01-22 02: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19년 1월, 대전 유등천
2019년 1월, 대전 유등천
지방대 사범대학에 재직하면서 많은 학생들을 만났다. 한 남학생에 대한 각별한 기억이 있다. 역사교육과라서 봄·가을엔 답사여행을 떠난다. 어느 해 봄이었다. 답사 2일째였을 것이다. 오전에 전세버스로 목적지를 향하고 있었다. 나는 운전기사 뒷좌석에 앉아 있었다. 버스가 달리고 있는데 한 학생이 전날 마신 술로 탈이 났나 보다. 오른쪽 맨 앞자리가 비어 있었는데 그 자리에 앉더니 그만 바닥에 토하고 말았다. 비닐봉투를 얻으려고 앞으로 나오다가 그만 참지 못하고 일이 벌어진 것이다.

내 자리 건너편에서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었다. 운전기사가 낯을 찌푸렸다. 이 일을 어찌 하나 하고 난감하게 바라보고 있던 순간, 뒤편에서 학과 학생회 총무를 맡은 복학생 한 명이 검은 비닐봉투를 들고 다가온다. 그러더니 말없이 소매를 걷어붙이고는 맨손으로 토사물을 싹싹 훑어 깨끗하게 치우는 게 아닌가. 누가 시킨 것도 아니었다. 청소 중이나 청소 후나 말 한마디 없었다. 내가 이 일을 했노라고 생색을 내는 법도 없었다. 당연히 할 일을 했다는 투였다.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보면서 내심 감탄했다. 나 자신 깨우치는 바가 많았다. 지방대란 이유만으로 폄하하는 세태에서 이런 학생이 있다는 게 뿌듯하고 자랑스러웠다.

나는 어려서 어머니가 부엌에 들어오지 못하게 막았던 세대에 속한다. 사내가 부엌에 들어오면 안 된다는 불문율이 통용되던 시절이다. 지금 와서 보면 한심한 관행이지만 그때는 그랬다.

설거지 습관이 몸에 붙질 않았으니 나이 들어 후천적으로 익히는 게 쉽지는 않았다. 이건 머리가 아니라 전적으로 몸으로 익히는 공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답사에서 그 일을 겪으면서 결정적으로 내 습관을 돌아보게 됐다. 그 후 개숫물에 손 담그는 게 자연스러운 일이 됐다. 학생에게서 한 수 배운 것이다.

어려운 시험을 치르고 고위직에 오른 우리의 엘리트 관료, 법조인들은 어떤 교육을 받고 자랐을까. 책으로만 세상을 배운 수재들이라면, 국민의 삶과 동떨어진 외계인들이라면 곤란할 것 같다. 삶의 현장에서 고단하게 살아가는 서민들의 아픔을 온몸으로 공감할 줄 아는 지도자가 많이 나오면 좋겠다.

흰뺨검둥오리 한 쌍이 차가운 얼음물에 온몸을 던져 먹이를 찾고 있다. 양말도 신지 않은 빨간 발이 얼마나 시릴까.

우석대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2020-01-22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