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지키는 7월, 잡초는 힘이 세다

[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지키는 7월, 잡초는 힘이 세다

입력 2019-07-16 17:20
업데이트 2019-07-17 0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자작이며 내리던 비가 잠잠해지자 풀벌레 소리 깨어나는 밤이다. 넉넉히 내린 비에 내일은 텃밭에 물 주지 않아도 되니 느긋해진다. 모든 것이 왕성해져 키우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지키기 바쁜 7월.

마당은 다양한 것들이 모이는 곳이다. 계획을 세우고 손을 부지런히 놀려도 심은 것보다 심지 않은 것이 더 많이 자란다. 그렇게 뽑고 뽑아도 잔디에는 바랭이가 걸어다니는 문어인 양 다리 쭉쭉 뻗고 있고, 먼저 뿌리내린 것이 임자라는 듯 달개비와 개망초, 명아주는 쑥쑥 잘도 자란다. 나물로 무치면 맛나다 하여 방치한 비름은 우슬초와 함께 무성하기만 하다.

칡덩굴과 환삼덩굴은 밖에서 은근슬쩍 들어와선 나무들을 휘감고 있고, 자리공은 나무들 사이에 넓은 잎을 펼치고 굵어지는 중이다. 키우자는 화초는 숨죽이는데 잡초들은 우거지고 기세등등하니 어느새 정글 흉내내는 마당.

처음 마당을 가꾸기 시작했을 땐 심은 것이 많지 않으니 풀 매다 한나절 보내곤 했다. 풀 매다 보면 시간은 더디 가고 넓지 않은 마당이 한없이 넓게 느껴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키우기보다 없애기 바쁜 시간이었다. 그래서 잡초를 대신할 꽃을 심고 씨앗을 뿌렸다.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달개비와 개망초가 그득하던 곳에 국화 삽목으로 채우고, 비름 가득한 곳에는 타임과 오레가노, 페퍼민트가 자라고, 키 작은 잡초 무성한 곳에는 채송화와 알리숨이 피고, 철쭉과 주목 사이엔 초롱꽃들이 메우고 있다. 질경이가 지독히 퍼지던 자리엔 샤스타데이지가 자리하고 올해 처음 키워 보는 토란은 잎이 넓으니 시원하게 자리를 채우지만, 역시 잡초는 힘이 세다.
이미지 확대
신가영 화가
신가영 화가
골고루 내리는 비에 모든 화초들이 싱싱하게 고개 드는 모습이다. 비 오지 않으면 아침저녁 2시간씩 물을 줘야 한다. 키우자 하는 곳에만 물을 주니 땡볕에 메마른 잡초들과 덩굴엔 여지없이 선녀벌레가 하얗게 자리한 모습을 보게 된다. 척박한 곳일수록 있고 없음이 생명을 좌우하는 일이 되는구나 싶다. 비 오니 참 좋다. 물호스가 미치지 못하는 곳에도 넉넉히 비 뿌려주니 모든 것이 풍성하다. 아무리 골고루 물 주려 해도 충분히 적시기엔 잠깐 내리는 비만 못하다.

자연이란 그런 것이겠다. 비는 예쁘게 피어나는 장미나 잡초 바랭이를 차별하지 않는다.
2019-07-17 3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