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놀래다와 놀래키다/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놀래다와 놀래키다/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11-18 20:38
업데이트 2020-11-19 04: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놀라다’의 사동사로 “뜻밖의 일을 해 남을 무섭게 하거나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다”란 뜻의 단어는 무엇일까. 아마도 적지 않은 사람이 ‘놀래키다’를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사전에 올라 있는 정답은 ‘놀래다’이다. 사전에는 ‘놀래키다’가 ‘놀래다’의 충청 방언이라고 설명돼 있다. 현실과 너무 동떨어진 쓰임이다.

‘놀라게 하다’란 뜻으로 표준어인 ‘놀래다’를 쓰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압도적으로 많은 사람이 ‘놀래키다’란 말을 사용할 것이다. ‘놀래키다’는 ‘놀라다’에 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이키’가 붙은 형태다. “영화 ‘기생충’은 올해 아카데미 최다 수상작이라는 새 기록을 쓰며 전 세계를 놀랬다”나 “동생을 놀래 주려고 뒤에서 몰래 다가갔다” 등은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또는 “동생을 놀라게 해 주려고”란 뜻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놀래켰다’나 ‘놀래켜 주려고’가 ‘놀라게 하다’란 본래의 뜻을 나타내는 데 적합해 보인다.

오히려 ‘놀래다’는 “깜짝 놀랬잖아”처럼 ‘놀라다’의 구어체 형태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놀래키다’는 우리말 조어법에도 어긋나지 않는다. “지난 일을 다시 생각하거나 원래 향하고 있던 방향에서 반대쪽으로 돌리다”란 뜻의 ‘돌이키다’는 ‘돌다’의 어간 뒤에 ‘이키’가 붙은 말이다. ‘돌이키다’는 표준어인데 ‘놀래키다’가 표준어가 되지 못할 이유는 없다.

oms30@seoul.co.kr
2020-11-19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