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천안함 합조단 야당도 참여시켜라

[사설] 천안함 합조단 야당도 참여시켜라

입력 2010-04-08 00:00
업데이트 2010-04-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천안함 참사 원인을 둘러싸고 계속돼 온 여야의 부질없는 공방이 어제는 국회 본회의장으로 옮겨갔다. 대정부 질문 첫날부터 여야가 티격태격하는 행태를 보면 남은 4월 국회 일정도 걱정된다. 무엇보다 북 개입설 등 사고 원인을 둘러싸고 서로를 향해 강한 불신과 함께 네탓만 하고 있다. 야당은 한발 더 나아가 내각 전면 개편 운운하며 인책 공세로 정권 흠집내기로 몰아가려는 기세다. 그러나 북 개입설에 대한 어떤 확증도 없고, 북한 무관설에 대한 증거도 없는 상황이다. 정치 공세든, 주장이든 필요하다면 진상 규명 후에 할 일이다.

천안함 참사로 야기된 위기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은 불신의 위기다. 군은 어제 민망스러운 생존자 집단 증언까지 강행하며 진상 규명 의지를 내보였다. 그러나 군이 발버둥쳐도, 정부와 청와대가 안간힘을 써도 불신은 요지부동이다. 정부 여당의 대척점에 서 있는 야당이 믿지 않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군이 자초한 측면이 있다고 치더라도 네탓만 할 때가 아니다. 불신의 블랙홀을 걷어내는 게 시급하다. 민·군(民軍)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이 그 기능을 맡아야 한다. 합조단은 전문성을 기본으로 공정성, 객관성, 투명성이 어우러지도록 몇 가지 보강을 했다.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세계 수준의 미국 전문가들 외에 유엔의 전문가도 참여토록 했다. 민간이 조사단장을 맡고, 유족 대표들도 참여하는 것은 공정성을 위해서다. 야당은 이마저 부족하다고 한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국회도 참여할 것을 요구했다. 하나 더 보강하는 걸 주저할 필요가 없다. 야당도 참여시키든, 참관시키든 무방할 것이다.

기상 악화로 중단된 천안함 인양 준비작업이 어제 재개됐다. 내일까지 사흘간 물살이 가장 약한 조금이다. 잠수 작업이 다소 수월해진 만큼 인양에 바짝 고삐를 죄어야 한다. 이제는 합조단을 믿고 맡길 때다. 야당은 국정조사나 국회 진상조사특위 주장을 일단 뒤로 물려야 한다. 합조단 결과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이 약속한 대로 사고 원인이 북한이든, 우리든 나중에 책임을 물으면 된다. 그때까지는 모든 국민들과 정치권, 언론은 불신을 접고 각자 소임을 다하길 당부한다.
2010-04-08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