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천안함 대응 힐러리 발언 확대 해석 말라

[사설] 천안함 대응 힐러리 발언 확대 해석 말라

입력 2010-04-26 00:00
업데이트 2010-04-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이 천안함 대응과 관련해 발언한 것을 남다르게 분석한 일부 언론 보도가 눈에 띈다. 한 언론은 “(한반도에서) 전쟁 얘기가 나오지 않길 바라고”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응” 등의 표현을 부각시켰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에 대해 군사적 대응을 자제하라는 경고로 해석했다. 행여 정부가 대북 보복 타격 등을 준비 중인 게 아니냐는 오해를 살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으로는 그럴듯한 분석 같다. 그러나 그 뒤편으로는 천안함 참사를 놓고도 보수와 진보로 갈라진 우리 언론의 단면을 드러내 씁쓸하고 또 걱정스럽다.

천안함 합동조사단이 어제 1차 함수 조사 결과를 발표했지만 핵심 의문은 아직 풀리지 않고 있다. “비접촉 수중 폭발 가능성이 크다.”는 조사 내용이나 “중어뢰에 의한 버블제트의 효과가 제일 가깝다.”는 김태영 국방장관의 발언이나 대동소이하다. 현 단계에서 분명한 사실은 중어뢰에 의한 공격 가능성이 높되 100% 확실한 결론은 더 조사해 봐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설령 중어뢰를 북한이 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하더라도 아직 예단할 단계가 아니라는 얘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보수 언론들은 북한 소행으로 사실상 결론내린 듯한 자세로 대북 강경 논조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일부 진보 언론들은 북한 공격 가능성을 애써 차단하려는 무지함을 노출하고 있다. 한쪽은 한반도 위기를 성급하게 조장하고, 다른 한쪽은 위기 가능성을 직시하지 않은 채 안보 불감증을 키우는 형국이다.

힐러리 장관은 최근 북 핵무기 보유 발언 등으로 정치적 파장을 불러오기도 했다. 많은 언론들은 이를 소개했고, 이번 발언에 관한 보도도 다양한 언론의 고유 영역으로 인정돼야 한다. 그러나 안보 문제, 특히 천안함 참사 대처에서는 무엇보다 앞서야 하는 게 한·미 공조다. 양국 공조에 빈틈을 키우려는 어떤 시도도 안 된다. 작금 우리 언론의 보도 행태가 우려스러운 것은 엄중한 국가 안위 사안에도 자의적인 잣대를 들이댄다는 점이다. 우리 언론들은 정치권에 어김없이 하는 요구가 있다. 국가 안보에 관한 한 초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게 바로 그것이다. 언론도 국가 안보에는 비이념적인 잣대가 필요하다.
2010-04-26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