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안철수의 기부가 신선한 감동을 주는 이유

[사설] 안철수의 기부가 신선한 감동을 주는 이유

입력 2011-11-16 00:00
업데이트 2011-11-16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안철수연구소 지분의 절반(1500억원 상당)을 사회에 환원한다고 발표했다. 내년 대선의 ‘핵심 변수’로 떠오른 안 원장의 재산 사회 환원은 ‘통합신당’ ‘독자신당’ 등 정치공학적 각종 풍문이 무성한 정치권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 사회 전반에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다. 안 원장은 자신의 행위가 정치적으로 해석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기는 했으나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과 기성 정치권의 직무유기 부분 등을 분명히 적시했다. 그는 “건강한 중산층의 삶이 무너지고 있고, 특히 꿈과 비전을 갖고 보다 밝은 미래를 꿈꿔야 할 젊은 세대들이 좌절하고 실의에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 고민의 일단으로 ‘노블레스 오블리주’(가진 자의 도덕적 책무)를 제시하며 ‘마중물’이 될 것임을 선언했다. 스스로 강조해온 ‘나눔’과 ‘배려’, ‘희망’과 ‘자기희생’을 실천에 옮겼다는 점에서 감동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10·26 재·보선에서도 확인됐듯 지금은 정당정치의 위기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위력이 기득권의 장벽에 함몰된 정치권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 그럼에도 정치권은 이합집산식 리모델링이나 인기인의 영입을 통한 반사이익으로 국민을 현혹할 궁리에만 몰두하고 있다. 최소한 40% 이상의 국민이 기존 정당을 거부하는 이유다. 그러다 보니 요즘 정치권이 그리는 세력 재편 지도의 중심에는 늘 안 원장이 자리잡고 있다. 안 원장의 말 한마디, 동작 하나마다 정치권의 아전인수식 해석이 난무한다. 안 원장의 재산 사회 환원도 본인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차기대권과 연계한 행보로 해석되고 있다. 안 원장의 최종적인 지향점이 정치든 아니든 기성 정치권으로서는 부끄러운 현주소가 아닐 수 없다.

정치권은 안 원장의 대중적 인기를 탐하기에 앞서 불신의 대상이 된 스스로를 되돌아봐야 한다고 본다. 안 원장을 자신들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하향평준화하려 할 게 아니라 소통과 나눔을 통해 정치의 존재 가치를 높이는 노력부터 기울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과도한 법의 혜택을 받고 있는 기존 정당의 울타리를 확 낮추어야 한다. 실세나 유력자가 아닌, 고단한 삶에 지친 국민과 가슴으로 소통해야 한다. 안 원장의 부상은 정치권에는 위기일지 몰라도 국민에게는 희망이다.
2011-11-16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