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반바지 근무 안 된다는 고정관념 버려야

[사설] 반바지 근무 안 된다는 고정관념 버려야

입력 2012-06-07 00:00
업데이트 2012-06-07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제 아침 조간 신문에 시원하고 새로워 보이는 사진 2장이 실렸다. 한 장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 동대문역사공원 이벤트홀에서 열린 ‘쿨 비즈 패션쇼’에서 반바지 차림의 옷 맵시를 선보인 것이다. 서울시는 여름철에 에너지를 절약하고 업무 효율을 높이는 쿨 비즈를 홍보하기 위해 패션쇼를 마련했다고 한다. 또 한 장의 사진은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김대기 경제수석비서관이 ‘휘들옷’을 입고 나타나자 김황식 국무총리 등이 신기한 듯 만져보는 것이었다. 휘들옷은 지식경제부가 국내 디자이너 및 패션업계와 손잡고 첨단 소재로 만든 에너지 절약형 의류다. ‘휘몰아치는 들판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직장에 출근할 때 입는 복장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달라져 왔다. 특히 여성의 옷차림은 다양하고 과감해지고 있다. 그러나 남성의 복장은 상대적으로 변화가 느리고 폭이 좁다. 여전히 셔츠에 정장이 대세다. 다만 여름철에는 넥타이를 매지 않고 반팔 셔츠를 입는 직장이 늘어나는 정도다. 이 때문에 서울시가 얼마 전에 일부 직원들에게 반바지에 슬리퍼 차림의 출근을 허용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놀라기도 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는 많은 것을 변화시키고 있다. 환경과 에너지, 국제정치, 경제, 안보는 물론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 근무 복장이라고 예외가 될 수는 없다. 여름에는 극단적으로 더워지고, 겨울에는 추위가 더 심해지는 상황에 근무 복장도 적응해야 한다. 반바지와 휘들옷 차림은 시원하기도 하지만, 매일 셔츠와 바지를 세탁하고 다리는 데 드는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물론 쿨 비즈 복장도 때와 장소를 가려야 한다. 격식이 필요한 곳에서는 상응하는 차림새를 갖춰야 한다. 또 반바지를 입을 때는 긴 양말을 신지 않는 것과 같은 최소한의 패션 센스도 필요하다.

2012-06-07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