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또 터진 사이버테러, 안보 차원에서 대비해야

[사설] 또 터진 사이버테러, 안보 차원에서 대비해야

입력 2013-03-21 00:00
업데이트 2013-03-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규모 해킹으로 주요 언론사와 금융기관의 전산망이 마비되는 사태가 또다시 발생했다. 어제 오후 KBS와 MBC, YTN 등 주요 방송사와 신한은행, 농협 등 일부 금융기관의 전산망이 동시다발적으로 마비됐다. 섣부른 예단은 금물이지만, 국방부와 정보당국은 북한의 사이버테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의 수사에 따라 진상이 드러나겠지만, 정부는 안보 차원에서 다각적 대비책을 세우기 바란다.

전산망 다운사태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시작됐다. 은행들과 고객들은 전산장애로 인한 창구 업무와 인터넷뱅킹, 현금자동입출금기(CD·ATM) 이용의 지연으로 불편을 겪었다. 다행히 국가정보통신망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들어 대규모 사이버테러가 빈발했다. 2009년 감행한 디도스 공격으로 청와대·국회 등 국가기관이 피해를 입은 데 이어, 2011년엔 농협 전산망이 해킹을 당하기도 했다. 지난해 6월엔 중앙일보 홈페이지 해킹 사건도 발생했다. 당국은 농협 전산망 공격 등의 근원지로 북한을 지목했었다.

사이버테러의 양상도 GPS(인공위성위치정보) 교란을 비롯해 디도스 공격, 전산망 해킹 등 가히 무차별적이었다. 국가정보원은 지난해 3분기에 국가기관에 대한 사이버 침해사고가 월평균 540여건으로, 전분기에 비해 20%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도 그동안 사이버 공격의 근원지로 지목된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은 최근 “우리를 건드리는 자는 상상 밖의 무자비한 징벌을 면치 못할 것”이라며 ‘우리식 타격방식’을 호언해온 터여서 의구심을 더한다. 북한의 사이버테러 수준은 정찰총국 산하에 3000여명의 사이버 인력을 운영하는 등 미 중앙정보국(CIA)에 필적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사이버테러는 단기간에 큰 피해를 입히고 사회적 대혼란을 야기한다. 원전이나 교통·통신 등 국가기간시설이 해킹을 당하면 국민의 안녕을 지키는 인프라가 통째로 마비된다는 점에서 철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 당국은 이번 사태의 배후와 공격 루트를 철저히 파악해 향후 사이버테러에 대한 만반의 대응체제를 갖춰야 할 것이다.

2013-03-21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