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美 ‘부양 축소’ 충격 최소화에 만전 기하길

[사설] 美 ‘부양 축소’ 충격 최소화에 만전 기하길

입력 2013-06-21 00:00
업데이트 2013-06-21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 로드맵이 제시되자 글로벌 금융·외환시장이 크게 요동치고 있다.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그제 오후(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만약 경제가 지속적으로 개선된다면 올해 말부터 850억 달러에 이르는 자산매입 규모의 축소를 시작해 내년 중반에 중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은 직격탄을 맞았다. 주가는 급락하고 국고채 금리와 원·달러 환율은 급등했다. 출구전략의 구체적 일정을 가늠할 수 있게 된 만큼 금융시장 움직임에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양적완화 출구전략이 실행으로 옮겨질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칠 파장을 정확히 예측하는 작업을 차분히 하기 바란다. 그래야 제대로 된 처방을 할 수 있다.

 올해 우리 경제의 최대 위험 요인은 대외 여건이다. 이미 아베노믹스의 영향으로 수출이 적잖은 타격을 받고 있다. 여기에다 미국의 출구전략이 시행되면 급격한 자본 유출입으로 외환시장이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중소기업들은 환 리스크 관리가 취약한 실정이다. 환차손 등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맟춤형 환율교육이나 컨설팅 지원사업을 하는 것이 긴요하다.

 추후 금리 상승으로 인한 부작용도 특히 신경써야 한다. 미국이 돈 풀기를 중단하면 신흥국에 퍼져 있던 돈이 금리가 높아진 미국으로 되돌아 가는 과정에서 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되면 국내 기업과 가계의 자본 조달 비용이 높아진다. 이는 투자와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주부터 하우스 푸어 구제책이 본격 시행되고 있다. 효과를 제대로 내게 해 가계 빚 문제가 또다시 불거지지 않도록 금융감독 당국은 모니터링을 철저히 해야 한다. 현재 총 222개 기업이 구조조정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금리가 높아지면 해운과 건설 등 취약 업종의 어려움은 더 커질 수 있다. 그럴 경우 은행 부실로 이어져 경기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옥석을 잘 가려 살릴 수 있는 기업은 최대한 지원하되, 그렇지 않은 곳은 과감히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 진행 상황을 점검하기 바란다.

 어제 인도 통화인 루피화의 미 달러화에 대한 가치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세계 경제의 성장 동력 역할을 해 온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의 금융 위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에게 불똥이 튀지 않도록 예의주시해야 한다.

2013-06-21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