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창조경제 가야 할 길 보여준 폴리케톤 개발

[사설] 창조경제 가야 할 길 보여준 폴리케톤 개발

입력 2013-11-06 00:00
업데이트 2013-11-06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효성이 첨단 고성능 신소재인 ‘폴리케톤’ 개발에 성공했다. 폴리케톤은 나일론보다 충격 강도가 2.3배나 높아 자동차·전기전자 분야의 부품이나 산업용 벨트 등 쓰임새가 다양하다고 한다. 1938년 나일론 개발 이후 섬유 계통에서 혁명적인 발명품이라고 할 수 있는, 한마디로 ‘슈퍼 섬유’다. 특히 대기오염의 주범인 일산화탄소를 주원료로 하는 친환경 소재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소재 산업은 경제의 뿌리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의 소재 산업은 낙후돼 있다. 우리나라는 수출액이 5500억 달러로 세계 6위에 올랐지만 수출로 번 돈의 47%는 수입에 쓴다. 1000원어치를 수출하면 530원만 국내 부가가치로 돌아오고 470원은 원자재나 소재 구입비로 외국에 도로 내준다는 뜻이다. 지난해 소재·부품 산업의 대(對)일본 적자는 222억 달러에 이르렀다. 폴리케톤 개발은 그런 점에서 의미가 각별하다. 수출의 부가가치를 높이려면 앞으로 폴리케톤과 같은 소재 개발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

폴리케톤은 바로 이런 게 창조경제임을 보여준다. 주지하다시피 창조경제란 ‘새로운 아이디어, 즉 창의력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으로 정의된다. 창의적 아이디어로 경제 난국을 돌파해야 한다는 뜻에서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를 국가적 목표로 내걸었다. 폴리케톤은 1980년대부터 미국과 일본도 개발을 추진해 왔지만 기술력 부족으로 상업화에는 이르지 못한 소재다. 우리가 폴리케톤을 개발함으로써 60조원 규모의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게 됐고 나아가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소재는 일단 개발하고 나면 후발 주자가 진입하기 어려워 독과점의 지위를 누리기 쉽다. 하지만, 소재 개발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이유다. 소재 개발에는 과감하고 지속적인 투자가 필수적이다. 10년 동안 500억원을 들여 결실을 볼 수 있었던 것은 경영자의 추진력과 결단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우리 경제의 미래는 소재산업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제2, 제3의 폴리케톤 개발에 국가와 기업이 함께 나서야 한다.

2013-11-06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