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자중지란의 제1야당 이대론 안 된다

[사설] 자중지란의 제1야당 이대론 안 된다

입력 2014-09-13 00:00
업데이트 2014-09-13 03: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정치민주연합이 리더십 공백과 맞물린 자중지란으로 혼돈의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다. 7·30 재·보선 참패 후 신뢰받는 정당으로 거듭나겠다며 비상체제를 꾸렸으나 한 달 넘도록 비상대책위는 구성도 못한 채 고질적인 노선·계파 갈등만 불거지면서 국정 현안은커녕 제 한 몸도 돌보기 힘든 지경이 됐다. 이 나라 정통 야당의 명맥을 잇고 있는 130개 의석의 제1야당이 어쩌다 이런 몰골을 국민들 앞에 내보이게 됐는지 안타깝고 통탄스러운 일이다.

어제 하루 국민들이 목도한 새정치연합의 분란과 혼선은 과연 이 정당이 앞으로 집권 여당의 대안세력이자 국정의 동반자로서 온전하게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지부터 의심하게 만든다. 고질적인 계파 간 대립으로 인해 당의 구심점이 진작 사라진 터에 이념과 노선을 둘러싼 강·온파 간 갈등까지 얹어지면서 이젠 제대로 된 당론조차 하나 마련하기가 힘든 처지가 됐다. 비상체제가 아니라 비상한 상황에 처박히게 된 것이다.

먼저 당 임시대표 격인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그는 어제 진보와 보수의 공존을 기치로 삼아 느닷없이 이상돈·안경환씨 영입 카드를 꺼내 들었다. 두 사람을 비상대책위 공동위원장에 앉히고 자신은 원내대표에 전념하겠다는 뜻이다. 당의 중지를 모으지 않은 이 독단적 결정은 그러나 소속 의원들의 거센 반발에 막혀 하루를 못 넘기고 공수표가 되고 말았다. 2011년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과 2012년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며 박근혜 정부 출범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에 대한 당내 정서와 기류를 면밀히 살피지 않아 빚어진 자충수다. 적격 여부를 떠나 당 혁신을 이끌 중차대한 인선을 어떻게 변변한 논의조차 없이 홀로 결정했는지, 이러고도 청와대 인사를 비판할 자격이 있는 것인지 박 위원장에게 묻지 않을 수 없다.

18대 대선 후보였고 친노 진영의 좌장 격인 문재인 의원과 김한길·정세균·정동영 전 대표, 박지원 전 원내대표 등 중진들의 책임 또한 결코 가볍지 않다. 아니 더 무겁다. 당내 실질적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이들은 그동안 당의 사분오열을 방관 내지 주도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7·30 재·보선 참패와 함께 김한길·안철수 대표가 물러나고 비상체제로 전환한 뒤에도 이들은 임시 지도부에 힘을 실어주기는커녕 세월호 정국 대응 등에서 딴 목소리를 내며 자파 세력 규합에 부심했다. 박 위원장이 어렵게 이룬 세월호특별법 합의를 당내 강경파들이 무산시키면서 리더십 공백 사태가 빚어진 과정에서도 이들은 아무런 구심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박 위원장이 외부 인사 영입을 홀로 추진할 수밖에 없었던 것도 따지고 보면 이런 지리멸렬의 당내 역학구도 때문이라고 할 것이다.

6·4 지방선거와 7·30 재·보선에서 내리 실패하고 그도 모자라 정당 지지율마저 10%대로 추락했건만 도무지 반성이라고는 눈 씻고 찾아볼 수 없는 제1야당의 모습에 자괴감을 떨칠 수 없다. 1970~80년대 운동권 시절의 사고체계에 갇힌 채 바뀐 세상을 탓하고, 당내 구심점도 없어 5~6개 계파가 서로 팔다리를 잡아채는 우물 안 싸움을 벌이고 있는 게 지금 새정치연합이다. 대체 언제까지 국민들을 걱정토록 만들 셈인가. 내 탓을 모르고 양보를 외면하는 이들에게 희망이 보이질 않는다.
2014-09-13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