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순수를 찾아서/송정림 드라마작가

[문화마당] 순수를 찾아서/송정림 드라마작가

입력 2019-10-02 17:38
업데이트 2019-10-03 0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송정림 드라마 작가
송정림 드라마 작가
시간의 세례를 받았지만 잊히지 않는 영화 몇 편을 다운받아 보다가 ‘시’를 봤다. 영화 속에서 걸어 나와 미자(윤정희)가 물었다. 당신 마음 안에서 순수는 안녕하시냐고…. 눈물이 날 것 같았다.

어느 날 나는 알게 됐다. 그 어떤 것을 해도 더이상 설레지 않는다는 것을…. 삶은 더이상 반짝이지 않았다. 사는 게 시들했다. 그제야 깨달았다. 가장 서둘러야 할 일은 내 마음속의 순수를 찾는 일이라고. 그래야 다시 행복할 수 있다고.

“정교한 그림을 그리는 건 어렵지 않았지만, 다시 어린아이가 되는 데 사십년이 걸렸다.” 피카소가 한 말이다.

잃어버리면 다시 찾기 힘든 것, 그러나 꼭 찾아야 하는 것, 그것은 순수가 아닐까?

누가 훔쳐가 버린 것처럼 마음에서 사라져 간 순수, 영화 ‘시’에서는 그 순수를 시(詩)로 설명한다. 영화의 오프닝은 잔인하다. 평화롭게 흐르는 강물, 그곳으로 무엇인가가 떠내려 온다. 소녀의 주검이다. 소녀는 순수성을 상징한다. 영화는 처음부터 단언을 내린다. 이 세상에서 순수는 사라졌다고.

66세의 미자는 간병인 일을 하면서 홀로 손자를 키우며 살아간다. “난 꽃을 보기만 해도 배불러 밥 안 먹어도 돼요.” 미자는 시를 쓰고 싶어 한다. 그런데 어떻게 하면 시를 잘 쓸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 누구도 시원하게 답을 들려주지 못한다. 왜냐하면 이미 순수는 사라졌으니까. 현실에 없는 것을 찾아 헤매는 미자는 그래서 엉뚱해 보이고 바보 같아 보인다.

미자에게 현실이 닥친다. 손자와 친구들이 소녀를 죽음으로 몰아간 사건이 있었다. 미자는 손자가 괴로워하기를 바란다. 나쁜 짓을 하면 괴로워해야 하기 때문이다. 죄를 지으면 벌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남의 가슴을 아프게 하면 자기 가슴에는 피멍이 드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손자에게는 죄의식이 없다. 슬퍼하지 않는다.

손자와 함께 죄를 지은 아이들의 부모들은 돈으로 사건을 무마하려 한다. 죄를 짓고도 대가를 치르지 않고 넘어가는 방법을 아이들에게 가르치고 있었다.

미자는 사랑하는 손자에게서 벌써 사라져 버린 순수가 슬프다. 시는 죽었고, 세상은 손자처럼 무신경하다. 그 속에서 갈등하며 손자를 사랑하는 방법을 고민하던 미자는 결국 선택한다. 원칙을 지키기로. 그것이 순수였다. 순수는 곧 사랑하는 마음이다.

요즘 세태를 보면서 안타까운 것은 부모가 사랑하는 아이에게 줘야 하는 게 무엇인지 전혀 모른다는 것이다. 부모가 앞서서 아이 마음에서 순수를 거둬가 버린다. 순수를 간직한 사람도 드물고 순수를 지키려고 애쓰는 사람도 보기 힘들다.

순수란 무엇일까? 순수와 순진은 다르다. 순진이 어린 시절에만 간직할 수 있는 거라면 순수는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순수는 소신 있고 주관이 뚜렷하다는 것이다. 세속에 물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 아니라 잘 알고 있어서 흔들리지 않는 것이다. 순수는 거짓말할 줄 모르고 책임을 질 줄 안다는 것이다. 순수는 남의 잘못은 용서하지만 자신에게는 엄격하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순수하게 살아간다는 일은 어렵고, 그래서 더 가치 있다.

영화는 희망을 전한다. 결국에는 순수를 선택한 미자처럼 우리도 순수를 간직할 수 있다고.

잃어버린 순수를 어떻게 찾아야 할까? 순수한 마음은 곧 시의 마음. 시는 말과 기호를 최대한 아껴서 최소한의 언어로 마음을 표현한다. 군더더기 욕심을 버리는 작업, 삶의 원형에 가까워지려는 노력, 정직해지려는 시도, 이것이 순수를 찾는 과정일 것이다.

순수를 되찾으려는, 원칙을 지키려는 그 시도는 행복에서 멀어져 버린 시린 내 인생에 건네는 따뜻한 악수다.
2019-10-03 2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