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크리스마스 다음날/김이설 소설가

[문화마당] 크리스마스 다음날/김이설 소설가

입력 2019-12-25 17:22
업데이트 2019-12-26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이설 소설가
김이설 소설가
‘마감이 눈앞에 닥쳐 있을 때 내 아파트는 언제나 최고로 깨끗하고, 내 파일은 가장 꼼꼼하게 정리되어 있고, 냉장고는 썩어가는 음식 없이 말끔히 치워져 있다. 반드시 해야 할 무언가가 있을 때, 나는 바로 그 일만 아니라면 무엇이든 용감무쌍하게 해내겠다고 결심한다.’ 마치 내 일처럼 묘사하고 있는 이 문장은 앤드루 산텔라의 ‘미루기의 천재들’에 수록된 부분이다. 책은 ‘지금 해야 하는 일보다 더 나은 일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을 편다.

연말이 되면 올 한 해를 어떻게 보냈는지 되돌아보게 된다. 연초에 세웠던 올해 계획을 적은 페이지를 들춰 보며 한숨을 쉬는 때도 이맘때이지 싶다. 해야 할 일, 하고 싶은 일의 한두 가지는 이뤘을 수 있다. 소액적금 만기, 치과 진료 받기나 밀가루 음식 줄이기 같은 것들. 그러나 올해도 못 해낸 일들이 더 많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면 운동하기, 금주·금연, 책 100권 읽기라든지 부모님에게 연락 자주 하기, 야식 먹지 않기 같은 항목들. 그리고 매년 그랬듯이 새해 계획에 올해 못 지킨 항목이 다시 포함될 것이다.

올해 계획 중에는 경장편 두 편 쓰기와 건강검진이 있었다. 경장편, 단편, 중편을 한 편씩 썼으니 그리 나쁜 결과는 아니다. 건강검진도 마쳤고, 그동안 건강을 위협하던 고혈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체중 감소도 이뤘다. 그러나 매일 단편 소설 한 편씩 읽기라든지, 매일 물건 하나씩 버리기라든지, 제대로 된 식단으로 상 차리기 같은 결심은 거의 빵점에 가깝다. 물론 못 해낸 것들은 새해 계획에 포함될 터다.

그나저나 우리는 왜 새해 계획을 세우는 걸까. 리스트를 만들어도 이룰 확률이 낮은데도 마치 어떤 의식을 치르듯이. 그런가 하면 연말이면 꼭 북적이는 송년회를 하는 분위기도 이상하긴 마찬가지다. 크리스마스와 연말이 겹쳐진 한 해의 마지막은 그래서 더욱 쓸쓸한 기분에 빠지기 일쑤다.

어릴 때부터 의아했던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이것이었다. 텔레비전과 거리는 크리스마스라고 시끌벅적한데 정작 내 일상은 달라진 게 하나 없다. 한 해의 마지막, 새해 첫날이라며 난리인데 내 하루는 어제와 다르지 않았고, 내일이라고 달라질 것도 없었다. 그래서 나에게만 아무 일이 벌어지지 않는 줄 알았다. 그러니까 나만 쓸쓸한 줄 알았다.

나이가 들면서 원래 기념일이란, 우리가 정한 어떤 날이란 사실 어제와 다를 바 없고, 내일과도 다를 리 없는 하루일 뿐이라는 걸 깨닫는다. 그럴수록 특별한 날이라고 유난을 떨지 않는 것으로 그날을 가장 값지게 기렸다. 고요하고 차분하게 평범한 하루에 충실했다. 그러니 쓸쓸할 이유가 없었다.

올해 계획 중에서 이루지 못한 것들을 헤아리며 스트레스받을 이유도 없다. 올해 못 했으면 내년에 하고, 내년에도 못 한다면 그 다음해에 해내면 될 테니까. 크리스마스 전에는 크리스마스 트리를 꾸미고 선물을 준비하고 새해를 축원하는 카드를 보냈다면 이제 조용히 크리스마스 장식을 정리하고, 새 다이어리를 준비하면 된다. 우리가 ‘미루기 천재’들일지언정 그게 큰 문제는 아니라는 걸 우린 이미 알고 있지 않은가. 미룬 일들은 어디 가지 않고 고스란히 쌓여 있다. 그것이 지긋지긋한 일상이 아니라, 너무 평범한 일상의 흔적이라고 생각하면 게으른 자신에 대한 한탄은 불필요하다는 걸 잘 알게 될 것이다.

나의 내년도 올해처럼 마감 날짜가 다가오는데도 뜨개질을 시작하고, 대청소를 결심한 순간부터 시집을 들추거나, 저녁밥을 안치기 전에 영화를 보기 시작해 결국 라면이나 끓이는 날이 반복될 것이다. ‘더 빨리! 더 많이!를 요구하는 세상의 압박 앞에 초연하고 싶’어서라고 변명한다면 위악적일까. 여하튼 반도 지켜지지 않을 새해 계획을 적어나가며 어제와 같은 내일을, 오늘과 같은 새해를 기다리기로 한다.
2019-12-26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