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상균의 혁신의 세계] 미중 패권전쟁 속 중국 학계의 양적 반격

[차상균의 혁신의 세계] 미중 패권전쟁 속 중국 학계의 양적 반격

입력 2024-06-20 00:04
업데이트 2024-06-20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첨단기술 학회마다 中 논문 폭증
논문 심사 ‘中 담합’ 조사할 정도
中 테크기업까지 통 큰 지원하나
물량 공세론 기술 주도권 못 쥐어

지난주 지구 반대편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ACM(컴퓨팅 머신 어소시에이션) SIGMOD(데이터 매니지먼트) 학회’를 다녀왔다. 새벽에 샌프란시스코를 출발한 비행기는 중간 기착지 파나마를 거쳐 15시간 만에 목적지에 도착했다. 겨울을 맞은 산티아고엔 비가 종종 내렸다. 비가 그친 뒤 도시를 둘러싸고 하얗게 눈으로 덮인 안데스산맥이 장관을 연출했다.

인구 2000만명에 일인당 국내총생산(GDP)이 1만 5000달러인 칠레는 생성형 인공지능(젠 AI)의 근간인 권위 있는 ACM 국제학술대회를 남미에서 처음 유치했다. 한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된 이곳은 특히 AI를 농업에 접목하는 데 관심이 많다. AI, 데이터, 컴퓨팅 연구를 선도하는 프랑스 국립연구원의 현지 연구소가 학회 개최를 주도했다. 우리가 배워야 할 선진 외교의 모습이다.

학회장에서 중국과학원 계산기술연구소 교수 첸 박사를 만났다. 칭화대 졸업 후 미국 카네기멜런대에서 컴퓨터사이언스 박사 학위를 받은 인재다. 인텔연구소에 있다가 11년 전 중국으로 돌아갔다. 그는 한눈에도 매우 피곤해 보였다. 미중 기술 패권전쟁이 시작된 후 중국 교수들이 미국 비자를 받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는 미국 경유 항로 대신 비자가 문제되지 않는 암스테르담을 통해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지난달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의 데이터공학회에서도 만났는데, 3주 만에 중국에서 다시 이곳을 거쳐 온 것이다.

ACM과 IEEE는 생성형 AI의 기술적 토대인 컴퓨터사이언스학계와 전기전자공학계를 대표하는 국제학술단체다. ACM, IEEE 모두 미국 주도로 시작됐기 때문에 미국에 본부가 있다. 인공지능과 데이터 분야의 독립된 학회들이 있지만 인적으로 ACM, IEEE와 중복된다. 따라서 이 두 학회 활동을 보면 생성형 AI의 세계 추세를 볼 수 있다.

ACM과 IEEE는 요즘 중국 논문의 폭발적 증가로 큰 위기를 겪고 있다. 우선 논문 수가 늘어났지만 논문의 질은 별로 높지 않아 논문 심사를 자원하는 학자들이 줄어들었다. 이 때문에 중국계 학자들의 논문 심사 비중이 급격히 올라갔다. 또한 중국, 홍콩의 대학은 물론 싱가포르 국립대 같은 곳의 친중국계 학자 논문이 70% 이상을 넘는 현상이 빚어졌다.

논문 수로만 보면 상위 10대 대학 중 홍콩과기대, 칭화대, 저장대, 싱가포르 국립대, 난양공대, 베이징대, 홍콩중문대 순서로 7개 대학이 차지한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에서 홍콩과기대 학과장으로 옮긴 중국인 교수는 올해 IEEE 학술대회에서만 18편의 논문을 내놓았다. 이 교수가 속했던 뉴사우스웨일스대까지 고려하면 상위 10대 대학 중 8곳이 중국계다. 남은 두 곳은 유럽의 두 대학이다. 스탠퍼드대, 매사추세츠공대, 버클리대, 카네기멜런대 등 컴퓨터사이언스를 세계적으로 이끄는 미국 대학은 한 곳도 없다.

이렇게 되자 두 학회가 논문 심사 과정의 중국계 담합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 칠레 학회에 온 ACM 학회장은 연구윤리 위배 행위에 대한 조사와 방지책 논의를 하고 있다고 했다. 이 담합을 주도한 것으로 의심받는 일부 중국계 학자들의 발언에서 중국이 한동안 내걸었던 ‘일대일로’ 구호의 뉘앙스가 느껴진다.

학문의 세계에서 ‘미국의 중국 봉쇄’에 대한 중국의 반격과 이와 관련한 서방의 새로운 대응이 진행되고 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서방 빅테크 기업을 배출했던 분야의 학술대회를 알리바바, 화웨이, 텐센트 같은 중국 빅테크기업들이 ‘큰손’ 지원을 하고 있다. 하지만 패스트팔로어 전략으로 양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중국은 아직 창의적인 ‘제로 투 원’(Zero To One) 연구와는 거리가 멀다. 우리는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 중국과 같이 논문 수만 세는 평가 기준으로는 우리의 미래는 없다.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초대원장

이미지 확대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초대원장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초대원장
2024-06-20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