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주의 박물관 보따리] 나주박물관에서/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

[이현주의 박물관 보따리] 나주박물관에서/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

입력 2023-04-11 01:08
업데이트 2023-04-11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
지난 5일 식목일 국립나주박물관에 다녀왔다. 오랜 봄 가뭄을 깨고 비가 촉촉이 내렸다. 나주역에 도착해 내리려고 일어서는데 플랫폼까지 들어와 기다리고 있는 직원이 보였다. 박물관으로 가는 길가엔 하얗게 핀 배꽃이 한창이었다. 도로를 따라가는데 차가 꿀렁거렸다. 박물관에 도착하기까지 고속방지턱이 10개라고 했다. 나주박물관의 대표 유물인 옹관을 옮기면서 크지만 약한 유물 컨디션에 직원은 심장이 쿵쾅거렸었단다.
이미지 확대
나주박물관에서 옹관 3D 스캔을 하는 모습.
나주박물관에서 옹관 3D 스캔을 하는 모습.
고분이 바라보이는 곳에 준비 중인 나주복합문화관 부지를 지나 박물관에 도착했다. 전시장에서 직원들이 옹관을 3차원(3D)으로 스캔하고 있었다. 400㎏ 가까이 되는 옹관은 70㎝ 이상은 떨어져서 촬영해야 하기에 도르래로 1m 가까이 들어 올려져 있었다. 3D 스캔 작업은 옹관을 옮길 때 안전하게 해줄 지지대와 집을 만들어 주는 일의 기초 작업이다. 3일 전부터 34개의 옹관을 하나하나 스캔했다고 했다. 수리한 흔적들이 수없이 보이는 옹관들은 디지털 기술을 통해 데이터가 축적된다. 이를 활용한 작업을 통해 옹관을 세워 보관할 수 있게 되면 전시, 공간활용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 했다.

시대가 변하면 과학도 발전하고 그에 따라 유물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전시하는 방법도 생겨난다. 실감영상관에서는 1500년 전 영산강 유역의 고대 문화와 고분 문화를 미디어아트로 상영하고 있었다. 폭 35m, 높이 3m의 바닥과 벽면, 기둥까지 꽉찬 영상을 정신없이 보다 관람객의 움직임에 따라 반응하는 체험형 인터랙션 기술도 체험했다. 영상을 보던 몇몇 어르신에게 직원이 “기념사진을 찍어 드릴게요” 한다. 어르신들은 다 보고 나가면서 박수를 쳤다. 잘 봤고 감동했다는 뜻이다. 소속 박물관이 지역사회에서 해야 하는 일이 바로 이런 것들이 아닌가 생각했다.

어린이박물관은 문화재를 지키는 사람들을 콘셉트로 소장품관리자, 보존과학자, 교육연구사, 전시기획자, 고고학자를 소개하고 그에 맞는 해설ㆍ체험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어린이박물관의 공간은 보이는 수장고와 연결돼 있었다. 등록, 보존처리하는 공간의 모습도 직접 볼 수 있는 것이다. “정말 최고인데요?”라는 말이 나왔다.

2013년 11월 개관한 나주박물관이 개관 10주년이 된다. 상설전시관 개편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새로이 꾸며질 박물관을 기대한다.
2023-04-11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