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폰 번호’ 단상/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폰 번호’ 단상/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3-11-18 00:00
업데이트 2013-11-18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의 폰 번호는 019로 시작한다. 10여년 전부터 사용해 왔는데 ‘010’으로 안 바꾼 큰 이유는 딱히 없다. 피처폰을 써온 것이 이유라면 이유다. 폰을 네 번 바꿨으니 정이 많이 들었다. 그런데 내년 1월엔 이 번호가 나를 떠난다. ‘010 번호’에 강제 통합된다. 함께한 날만큼이나 추억할 일도 많다. 처음엔 “왜 잘 안 터지는 019냐”는 말을 들었고, 스마트폰이 나온 뒤엔 시대에 뒤처진 ‘뒷방 늙은이’라는 핀잔도 듣는다.

한동안 통신업체에 있는 친구로부터 “최신 스마트폰을 싼 가격으로 해 줄 테니 바꾸라”는 타박도 들었다. 그럴 때마다 낡았지만 방송 시청도 가능하고 손때 묻은 친구와 같다고 손사래를 쳤다. 통화량도 적지 않아 스마트폰으로 바꾸면 손해가 아닌데도 생각 바꾸기가 영 안 된다. 지금도 ‘01】 번호’를 쓰는 이가 140만명이나 된다고 한다. 다 나름의 특별한 이유들이 있지 않을까. 최근 회사 동료로부터 뜻밖의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번호를 안 바꾸는 것은 헤어진 애인 생각 때문’이라고…. 꿈보다 해몽이다. 그래, 이참에 옛 친구 순이 생각이나 해볼까.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11-18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