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지슬과 청야/박찬구 논설위원

[길섶에서] 지슬과 청야/박찬구 논설위원

입력 2014-01-14 00:00
업데이트 2014-01-14 0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현대사의 또 다른 불편한 사건을 다룬 영화 ‘청야’가 입소문을 타고 있다. 6·25전쟁 발발 이듬해인 1951년 경남 거창군 신원면 일대 주민 719명이 국군에게 몰살당한 거창양민학살사건을 소재로 삼았다. 당시 군의 비공식 작전명이었던 청야는 벽을 튼튼히 하고 들의 곡식을 거둬들여 적의 식량보급을 끊는다는 ‘견벽청야’를 뜻한다. 빨치산과 내통했다는 어이없는 죄명으로 젖먹이와 어린이 385명을 포함해 마을 사람들은 말 그대로 초토화를 당했다.

관람 내내 제주 4·3항쟁을 그린 ‘지슬’이 오버랩됐다. 지슬과 청야, 두 편의 독립영화는 이념과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무고하게 희생된 영혼을 씻김굿으로 달래며, 그 광기의 역사를 우리 공동체가 되풀이해선 안 된다는 화두를 건넨다.

역사물에서는 감독의 영화적 상상력과 팩트 사이에 간극이 생길 수 있다. 이를 감안하더라도 두 영화가 전하는 메시지는 묵직하고 쓰리다. 엔딩 크레딧과 함께 청야는 툭 던진다. ‘몰랐다면 알아야 하고, 알았다면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박찬구 논설위원 ckpark@seoul.co.kr
2014-01-14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